검색결과: 203 건

  • https://archives.womenandwar.net/files/import/PEO0096.jpg
    [인물] 김영희1

    재일조선인 여성운동활동가. 우리여성네트워크 멤버로 1990년대 일본군'위안부'문제해결운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했다. 국민기금 논란이 일어나자 '전후배상실현시민기금(戦後補償実現市民基金)'을 결성하여 국민기금 반대운동을 펼쳤다. 또한 2000년 '한국정신대연구소'가 출간한 <할머니 군위안부가 뭐예요?(일본어판: よくわかる韓国の「慰安婦」問題, 2002)>를 일본어로 번역했다.

  • https://archives.womenandwar.net/files/import/PEO0195.jpg
    [인물] 김옥선

    한국의 일본군'위안부'피해생존자이자 인권운동가. 1930년대 후반 대만으로 강제동원되어 1946년 귀국했다. 1993년 한국정부에 일본군’위안부’피해자로 등록한 뒤 2007년 미국 순회집회 등 다양한 장소에서 활동했다. 대구정신대할머니와함께하는시민모임에서 김옥선의 증언을 모아 <역사의 증언시리즈 5: 내가 어떻게 말을 해요 어무이 가슴에 못 박을라꼬>를 출간했다.

  • https://archives.womenandwar.net/files/import/정보-인물.png
    [인물] 김원웅

    한국 제14, 16, 17대 국회의원 및 '광복회' 회장

  • https://archives.womenandwar.net/files/import/PEO0038.jpg
    [인물] 김윤옥

    전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 공동대표. 아세아의 평화와 여성의 역할 남측실행위원이었으며 1990년대 정대협 실행이사를 맡아 국민기금 반대운동 등에 참여했다. 여성국제전범법정 당시 한국위원회 부위원장을 맡았다. 또한 2004년 국민기금 이사 와다 하루키에게 공개서한을 보낸 바 있다.

  • https://archives.womenandwar.net/files/import/PEO0022.jpg
    [인물] 김창록

    전 '일본군'위안부'연구회' 초대회장이자 연구자다. 1995년 <일본제국주의의 식민지지배구조의 성격> 발표를 계기로 일본군'위안부'문제해결 운동에 참여하기 시작했다. 2000년 여성국제전범법정 남북코리아 검사단으로 참여하였으며 1965년 한일조약상의 문제, 2015년 한일합의 등에 대한 연구를 진행했다. 대표저서로 <대법원 강제동원 판결, 핵심은 불법강점이다>가 있다.

  • https://archives.womenandwar.net/files/import/정보-인물.png
    [인물] 김철순

    북한의 일본군'위안부'피해생존자이자 인권운동가.

  • https://archives.womenandwar.net/files/import/PEO0005.jpg
    [인물] 김학순

    일본군'위안부'피해생존자이자 최초 공개증언자. 1991년 8월, 일본군'위안부' 피해를 최초 공개증언했다. 이후 "아시아태평양전쟁 한국인 희생자 보상 청구 소송"을 제기하고 국민기금 반대 운동 등에 참여했다. 제11차 아시아연대회의에서 김학순의 용기를 기리기 위해 8월 14일을 일본군'위안부' 기림일로 지정했다.

  • https://archives.womenandwar.net/files/import/PEO0158.jpg
    [인물] 김화선

    한국의 일본군'위안부'피해생존자이자 인권운동가.

  • https://archives.womenandwar.net/files/import/PEO0047.jpg
    [인물] 나카하라 미치코

    '전시여성폭력일본연구액션센터(VAWW-RAC)' 공동대표이자 동남아시아사 연구자. 현 '전시여성폭력일본연구액션센터(VAWW-RAC)' 공동대표이자 '여성.전쟁.인권학회' 창립멤버. 여성국제전범법정 당시 '바우넷재팬' 부대표를 맡아 일본 측 사무 및 모금 등을 담당했다. 2006년부터 미야코지마 위안소 조사에 참여했으며 미야코지마 아리랑비 설립에 함께했다. 저서 <역사는 먹으로 칠할 수 없다(2015)> 등 다수가 있다.

  • https://archives.womenandwar.net/files/import/정보-인물.png
    [인물] 남인순

    전 '한국여성단체연합' 상임대표 및 제19,20,21대 국회의원. 1994년 '한국여성단체연합' 사무국장 등을 맡으면서 일본군'위안부'문제해결운동을 시작했다. 2015년 한일합의가 일어나자 2016년 국회 개원일에 <대한민국 정부와 일본 정부 간의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문제에 관한 합의' 무효 확인 및 재협상 촉구 결의안>을 발의했다.

  • https://archives.womenandwar.net/files/import/PEO0238.jpg
    [인물] 넬리아 산초

    필리핀 여성운동활동가이자 '가브리엘라여성회' 공동설립자. 1970년대 필리핀 민주화 운동에 참여하고 '가브리엘라여성회'를 조직했다. 1991년 일본군'위안부'문제가 알려지자 필리핀 조사활동, 피해생존자 지원 등을 시작했다. 제1-4차 아시아연대회의에 참석하여 발표했다.

  • https://archives.womenandwar.net/files/import/정보-인물.png
    [인물] 노무현

    제16대 대한민국 대통령. 2005년 한일 기본조약 문서 일부를 공개했다. 이에 따라 일본군'위안부' 피해자, 원폭 피해자, 사할린 강제동원 피해자는 한일협정 적용 대상이 아닌 것으로 밝혀졌고,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와 '민주사회를 위한 변호사모임' 소속 변호사는 2006년 한국정부가 외교적 보호권을 행사하지 않은 점은 위헌이라는 헌법 소원을 청구했다.

  • https://archives.womenandwar.net/files/import/PEO0777.jpg
    [인물] 노수복

    한반도 출신 태국 거주 일본군'위안부'피해생존자이자 인권운동가.

  • https://archives.womenandwar.net/files/import/PEO1713.jpg
    [인물] 노청자

    한국의 일본군'위안부'피해생존자이자 인권운동가.

  • https://archives.womenandwar.net/files/import/PEO1962.jpg
    [인물] 누라이니 탄다

    인도네시아의 일본군'위안부'피해생존자이자 인권운동가.

  • https://archives.womenandwar.net/files/import/PEO0097.jpg
    [인물] 니시노 루미코

    일본 여성운동활동가이자 전 '바우넷재팬' 공동대표. 1990년 초반부터 일본군'위안부'문제해결 운동에 함께하여 국민기금 반대운동, 여성국제전범법정, NHK 편파보도에 대한 소송 운동 등을 펼쳤다. 제5~9차 아시아연대회의에서 발표했다.

  • https://archives.womenandwar.net/files/import/PEO0587.jpg
    [인물] 니시무라 스미코

    '일본군'위안부'문제간사이네트워크' 활동가

  • https://archives.womenandwar.net/files/import/정보-인물.png
    [인물] 다니엘 윌리암 리핀스키

    민주당, 일리노이주 하원의원,일본군'위안부'결의안을 최초로 미국 의회에 제출.

  • https://archives.womenandwar.net/files/import/정보-인물.png
    [인물] 다카기 다카

    다카기 다카는 일본에서 일본군성노예제 문제 해결을 위해 "위안부문제의입법해결을요구하는모임"에서 「전시성적강제피해자문제해결촉진법안」 입법 촉구 활동을 했다. 제6차 아시아연대회의에 참석 및 발표했다.

  • https://archives.womenandwar.net/files/import/PEO0529.jpg
    [인물] 다카하시 기쿠에

    일본 여성운동활동가이자 '성착취문제를다루는모임' 사무국장. 제1차,2차,6차,7차,9차 아시아연대회의 참석 및 발표했다.

  • https://archives.womenandwar.net/files/import/PEO0174.jpg
    [인물] 도쓰카 에쓰로

    일본의 인권변호사이자 연구자. 1992년 유엔인권위원회에서 일본군'위안부'문제를 처음으로 제기하면서 '위안부’는 성노예(sex slaves)'라 발언했다. 이후 모토오카 쇼지 의원의 의정활동을 지원하거나 국제상설중재재판소 조정 운동 등에 참여했다.

  • https://archives.womenandwar.net/files/import/PEO0004.jpg
    [인물] 라디카 쿠마라스와미

    전 여성폭력문제특별보고관(1994~2003)이자 전 유엔 사무차장이다. 1995년 한국과 일본을 방문하여 일본군'위안부' 문제를 조사하고, 1996년 유엔에서 처음으로 일본군'위안부' 문제에 대한 보고서를 발표하여 일본 정부의 책임인정과 배상 등을 촉구했다. 보고서 발표 당시 일본 정부가 공인을 거부하자 유엔인권위원회 여성폭력문제 특별보고관의 보고서를 지지하는 회의가 조직되어 활동을 벌여 1996년 4월 최종 보고서가 공인되었다.

  • https://archives.womenandwar.net/files/import/PEO1819.jpg
    [인물] 레메디오스 디알리노

    필리핀 일본군'위안부'피해생존자이자 인권운동가.

  • https://archives.womenandwar.net/files/import/PEO1888.jpg
    [인물] 레오노어 헤르난데스 스마완

    필리핀 일본군'위안부'피해생존자이자 인권운동가.

  • https://archives.womenandwar.net/files/import/정보-인물.png
    [인물] 레인 앨런 에반스

    민주당, 인권변호사이자 일리노이주 하원의원.

  • https://archives.womenandwar.net/files/import/PEO1186.jpg
    [인물] 루두비나 페르난데스

    '동티모르인권협회' 부회장

  • https://archives.womenandwar.net/files/import/PEO0179.jpg
    [인물] 루만메이

    대만의 일본군'위안부'피해생존자이자 인권운동가. 1942년 중국으로 강제동원되어 1944년 임신한 상태로 귀국했다. 여성국제전범법정에서 자신의 경험을 증언하였으며 2003년 7월 한국에 방문하여 567차 정기수요시위 및 2004년 개최된 "일본의 과거 청산을 요구하는 국제연대협의회 서울대회" 등에 참석했다.

  • https://archives.womenandwar.net/files/import/PEO1820.jpg
    [인물] 루시아 미사

    필리핀 일본군'위안부'피해생존자이자 인권운동가.

  • https://archives.womenandwar.net/files/import/정보-인물.png
    [인물] 리경생

    북한의 일본군'위안부'피해생존자이자 인권운동가.

  • https://archives.womenandwar.net/files/import/정보-인물.png
    [인물] 리계월

    북한의 일본군'위안부'피해생존자이자 인권운동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