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203 건

  • https://archives.womenandwar.net/files/import/PEO0182.jpg
    [인물] 박순희

    한국의 일본군'위안부'피해생존자이자 인권운동가. 1941년 중국으로 강제동원되어 해방 이후 귀국했다. 인권캠프, 미군'위안부'피해생존자들과 교류회 등에 참여하며 활동했다.

  • https://archives.womenandwar.net/files/import/PEO0194.jpg
    [인물] 김순악

    한국의 일본군'위안부'피해생존자이자 인권운동가. 2000년 피해신고를 하여 이후 일본군'위안부'문제해결을 위한 활동에 참여하였으며 일본군'위안부'역사관 건립을 위해 본인의 재산을 기부했다. 김순악의 삶은 영화 <보드랍게>를 통해 소개되었다.

  • https://archives.womenandwar.net/files/import/PEO0195.jpg
    [인물] 김옥선

    한국의 일본군'위안부'피해생존자이자 인권운동가. 1930년대 후반 대만으로 강제동원되어 1946년 귀국했다. 1993년 한국정부에 일본군’위안부’피해자로 등록한 뒤 2007년 미국 순회집회 등 다양한 장소에서 활동했다. 대구정신대할머니와함께하는시민모임에서 김옥선의 증언을 모아 <역사의 증언시리즈 5: 내가 어떻게 말을 해요 어무이 가슴에 못 박을라꼬>를 출간했다.

  • https://archives.womenandwar.net/files/import/PEO0228.jpg
    [인물] 하상숙

    중국거주 한국 출신 일본군'위안부'피해생존자이자 인권운동가. 해방 이후 중국 우한에서 거주하였으며 1999년 국적회복되었다. 변영주 감독의 <낮은 목소리1>에 출연 및 여성국제전범법정에서 증언했다.

  • https://archives.womenandwar.net/files/import/PEO0229.jpg
    [인물] 백넙데기

    한국의 일본군'위안부'피해생존자이자 인권운동가. 1939년 인신매매로 강제동원되고 해방 이후 중국에 남겨졌다. 2003년 하상숙과 함께 귀국하여 인권캠프 등에 참여, 전쟁과여성인권박물관 건립 주춧돌 후원 등 일본군'위안부'문제해결을 위해 활동했다.

  • https://archives.womenandwar.net/files/import/PEO0234.jpg
    [인물] 이상옥

    북한의 일본군'위안부'피해생존자이자 인권운동가.

  • https://archives.womenandwar.net/files/import/정보-인물.png
    [인물] 장건푸

    난징대학살 피해생존자.

  • https://archives.womenandwar.net/files/import/PEO0236.jpg
    [인물] 아모니타 발라자디아

    필리핀 일본군'위안부'피해생존자이자 인권운동가.

  • https://archives.womenandwar.net/files/import/PEO0238.jpg
    [인물] 넬리아 산초

    필리핀 여성운동활동가이자 '가브리엘라여성회' 공동설립자. 1970년대 필리핀 민주화 운동에 참여하고 '가브리엘라여성회'를 조직했다. 1991년 일본군'위안부'문제가 알려지자 필리핀 조사활동, 피해생존자 지원 등을 시작했다. 제1-4차 아시아연대회의에 참석하여 발표했다.

  • https://archives.womenandwar.net/files/import/정보-인물.png
    [인물] 염귀녀

    기독살림여성회 회장.

  • https://archives.womenandwar.net/files/import/정보-인물.png
    [인물] 변영주

    한국 영화 감독. 일본군'위안부'문제를 다룬 <낮은 목소리> 3연작 영화감독이자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 홍보대사. 1993년 <아시아에서 여성으로 산다는 것> 연출을 계기로 일본군'위안부'문제에 관심을 가지게 되었다. <낮은 목소리> 1편 <낮은 목소리-아시아에서 여성으로 산다는 것>은 한국 '나눔의집'과 중국 무한의 피해생존자의 삶을 닮고 2편은 피해생존자의 일상과 국민기금 반대운동을 담았다. 마지막 3편 <낮은 목소리3-숨결>은 피해생존자 이용수가 다른 피해생존자의 삶을 듣는 형식으로 구성되었다. <낮은 목소리>로 1999년 부산국제영화제 운파상, 2000년 제20회 한국영화평론가협회상 특별상 등을 수상했다.

  • https://archives.womenandwar.net/files/import/PEO0285.jpg
    [인물] 이효재

    전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 대표이자 연구자. 한국 여성운동에 윤정옥을 소개하여 일본군'위안부' 문제해결 운동이 촉발하는 계기를 제공했다. 남북일 여성회의인 “아시아의평화와여성의역할” 개최에 함께하고 유엔, 국제노동기구 등에서 일본군'위안부' 문제를 알렸다. 박정희가 이이효재의 삶을 정리해 도서 <이이효재>로 출간했다.

  • https://archives.womenandwar.net/files/import/PEO0286.jpg
    [인물] 정숙자

    전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 공동대표.

  • https://archives.womenandwar.net/files/import/PEO0303.jpg
    [인물] 아네리엣 드 파이퍼

    '일본의도의적책임을묻는재단' 멤버

  • https://archives.womenandwar.net/files/import/PEO0309.jpg
    [인물] 강혜정

    전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 운영위원 및 현 정의기억연대 이사. 1991년 도쿄 증언집회에서 김학순 등의 통역을 맡은 것을 계기로 일본군'위안부'문제해결운동에 함께했다. 2003년 이후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 실행이사 등을 맡았으며 제7차 아시아연대회의에서 발표했다.

  • 중국인'위안부'손해배상 청구소송 변호단.

  • https://archives.womenandwar.net/files/import/PEO0336.jpg
    [인물] 김선실

    전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 공동대표이자 전쟁과여성인권박물관 관장. 1992년 장위동성당에서 피해생존자와 만남을 계기로 운동에 함께하여 2014년 프란치스코 교황 방한 당시 피해생존자와 교황 간 만남을 기획하는 등의 활동을 벌였다. 2015년~2017년 전쟁과여성인권박물관에서 관장 직을 역임하였으며 관련 활동을 제15차 아시아연대회의에서 발표했다.

  • https://archives.womenandwar.net/files/import/PEO0347.jpg
    [인물] 안상님

    '한국여신학자협의회' 공동대표이자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 실행위원

  • https://archives.womenandwar.net/files/import/정보-인물.png
    [인물] 남인순

    전 '한국여성단체연합' 상임대표 및 제19,20,21대 국회의원. 1994년 '한국여성단체연합' 사무국장 등을 맡으면서 일본군'위안부'문제해결운동을 시작했다. 2015년 한일합의가 일어나자 2016년 국회 개원일에 <대한민국 정부와 일본 정부 간의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문제에 관한 합의' 무효 확인 및 재협상 촉구 결의안>을 발의했다.

  • https://archives.womenandwar.net/files/import/PEO0418.jpg
    [인물] 얀 루프 오헤른

    네덜란드 출신 일본군'위안부'피해생존자이자 인권운동가. 여성국제전범법정에서 증언했다. 2006년 8월 오스트레일리아를 순회하며 증언과 강연을 진행하였으며 2007년 미국 하원의원에서 증인으로 참석했다.

  • https://archives.womenandwar.net/files/import/PEO0429.jpg
    [인물] 한정화

    '코리아협의회' 대표. 독일과 유럽에서 일본군'위안부'문제를 알리는 다양한 활동을 펼쳤다. 2017년 유럽 최초 평화비 건립을 추진하였으며 이후 베를린 미테구 및 카셀대학교 평화비 설립에 함께했다. 제15차 아시아연대회의에서 발표했다.

  • https://archives.womenandwar.net/files/import/PEO0436.jpg
    [인물] 이종화

    미국 연구자이자 'HR121가주연대' 운영위원

  • https://archives.womenandwar.net/files/import/정보-인물.png
    [인물] 엔니 팔레오마베가

    미국연방 하원의원.

  • https://archives.womenandwar.net/files/import/PEO0459.jpg
    [인물] 마이클 마코토 혼다

    미국연방 하원의원. 미국 민주당 소속 정치인이자 제110~114대 하원의원. 일리노이주 민주당 의원들이 1997년부터 미국 의회에 지속적으로 제출한 결의안을 이어받아 2007년 상정했다. 2007년 미국 연방의회 일본군 위안부 사죄 결의안(House Resolution 121, 약칭 HR121)이 통과되었다.

  • https://archives.womenandwar.net/files/import/PEO0524.jpg
    [인물] 홍선옥

    북한 조선노동당 중앙위원회 위원이자 '조선일본군위안부및강제연행피해자보상대책위원회' 위원장. 제3차 아시아연대회의에 초청하였고 한국정부는 허가했으나 북측의 사정으로 참석 할 수가 없었다. 제8차 아시아연대회의 당시 한국에 방문하여 미국 결의안 통과와 국제연대를 강조했다.

  • https://archives.womenandwar.net/files/import/PEO0529.jpg
    [인물] 다카하시 기쿠에

    일본 여성운동활동가이자 '성착취문제를다루는모임' 사무국장. 제1차,2차,6차,7차,9차 아시아연대회의 참석 및 발표했다.

  • https://archives.womenandwar.net/files/import/PEO0532.jpg
    [인물] 황우슈메이

    대만의 일본군'위안부'피해생존자이자 인권운동가.

  • https://archives.womenandwar.net/files/import/PEO0533.jpg
    [인물] 필라 E. 프리아스

    필리핀 일본군'위안부'피해생존자이자 인권운동가.

  • https://archives.womenandwar.net/files/import/PEO0536.jpg
    [인물] 에카 힌드라티

    인도네시아 연구자이자 '인도네시아네트워크' 대표. 제9차, 12차, 14차 아시아연대회의에서 인도네시아의 일본군'위안부'문제 실상에 대해 발표했다.

  • https://archives.womenandwar.net/files/import/PEO0538.jpg
    [인물] 아이리스 청

    '국제앰네스티' 아태지역캠페인담당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