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검색안내 보기

출처: [blank]
Creator Date Title Identifier Language
[인물] 라디카 쿠마라스와미PEO0004
전 여성폭력문제특별보고관(1994~2003)이자 전 유엔 사무차장이다. 1995년 한국과 일본을 방문하여 일본군'위안부' 문제를 조사하고, 1996년 유엔에서 처음으로 일본군'위안부' 문제에 대한 보고서를 발표하여 일본 정부의 책임인정과 배상 등을 촉구했다. 보고서 발표 당시 일본 정부가 공인을 거부하자 유엔인권위원회 여성폭력문제 특별보고관의 보고서를 지지하는 회의가 조직되어 활동을 벌여 1996년 4월 최종 보고서가 공인되었다.
[인물] 빌 크루즈PEO1445
호주 소재 애쉬필드유나이팅교회 목사.
[인물] 장솽빙PEO1008
중국 산시성 일본군'위안부'문제 연구자.
[1993-03-03] 일본인 피해생존자 시로타 스즈코 사망D0138-1
일본인 피해생존자 시로타 스즈코가 별세하였다.
[인물] 시로타 스즈코PEO1968
일본인 일본군'위안부'피해생존자이자 인권운동가.
[인물] 캉젠PEO0311
중국 여성운동활동가이자 변호사. "중국인 '위안부' 손해배상 청구소송" 변호인단이자 여성국제전범법정 검사단. 제5차 아시아연대회의에서 중국 피해생존자의 개인청구권에 대해 서면보고를 진행하고 이후 7차, 12차, 13차 아시아연대회의에서 중국에서 활동에 대해 발표했다.
[인물] 김원웅PEO0076
한국 제14, 16, 17대 국회의원 및 '광복회' 회장
[아이템세트] 제4차 아시아연대회의 Yehchen Yuchih의 증언F0164
증언을 정리한 문서(한, 영), 증언 현장 사진
[조직/단체] 종군위안부및태평양전쟁피해자보상대책위원회ORG0606
일본군'위안부'문제 관련 조선노동당 외곽단체. 1992년 북한 정부관계자 및 역사학자, 국제법학자, 변호사 등이 구성한 '일제의 조선강점 피해 조사위원회'의 조사 결과에 기반하여 1993년 8월 결성되었다. 1993년 평양국제토론회 등을 주최하여 일본군'위안부'피해생존자 및 활동가를 초청하고 교류사업을 진행했다.
[조직/단체] 정신대할머니와함께하는시민모임ORG0095
대구, 경북지역 일본군'위안부'문제 관련 여성인권운동단체. 대구, 경북 지역 일본군'위안부'피해생존자 지원 사업 및 조사 및 기록, 교육 활동 등을 펼쳤다. 2015년 12월 희움일본군'위안부’역사관을 개관했다.
[인물] 요나하 히로토시PEO0666
미야코지마 주민, 과거 일본군'위안부'피해생존자를 본 경험을 증언.
[2018-03-07] 제15차 아시아연대회의D1991
한국 서울에서 제15차 아시아연대회의를 개최했다.
[인물] 한정로PEO0429-1
'재독한국평화여성회' 대표. 도서 <강제로 끌려간 일본군’위안부'들>을 독일어판으로 번역하고 영화 <낮은 목소리> 상영하는 등 독일 사회에서 일본군'위안부'문제를 알리기 위한 활동을 펼쳤다. 제8차 아시아연대회의에서 발표했다.
[인물] 한정화PEO0429
'코리아협의회' 대표. 독일과 유럽에서 일본군'위안부'문제를 알리는 다양한 활동을 펼쳤다. 2017년 유럽 최초 평화비 건립을 추진하였으며 이후 베를린 미테구 및 카셀대학교 평화비 설립에 함께했다. 제15차 아시아연대회의에서 발표했다.
[인물] 무라야마 도미이치PEO1972
1994년 자유민주당·일본사회당·사키가케 연립내각에서 총리대신으로 지목되었다. 1994년 12월 아시아여성기금(일명 국민기금) 설립 안을 밝혔다. 기금 설립 반대에도 불구하고 1995년 7월 모금호소문을 발표하며 국민기금을 발족했다. 1995년 전후50주년담화, 이른바 무라야마담화를 발표하였으며 2000년 정계를 은퇴하면서 국민기금 이사장으로 취임했다.
[1998-08-01] 유엔인권소위원회, 게이 맥두걸 보고서 채택D0535
유엔인권위원회 산하 차별방지 및 소수자보호에 관한 소위원회(Sub-Commission on Prevention of Discrimination and Protection of Minorities), 게이 맥두걸(전시 상황에서의 조직적 강간, 성노예 및 그와 유사한 형태 특별보고관)이 작성한 보고서 <전쟁 중 조직적 강간, 성노예제 및 그와 유사한 관행>을 채택했다. 해당 보고서는 일본군'위안부' 문제는 명백한 국제법 위반이란 법적 근거를 규명하며, 일본정부의 법적배상 책임 및 책임자 처벌을 골자로 한다.
[1994-08-03] 제46차 유엔인권소위원회, 일본군'위안부'문제 관련 결의 채택D0296
제46차 유엔인권위원회 산하 차별방지 및 소수자보호에 관한 소위원회(Sub-Commission on Prevention of Discrimination and Protection of Minorities)에서 린다 차베스 위원에게 1995년 8월 인권소위원회에 전쟁 중 조직적 강간, 성노예제 및 그와 유사한 관행에 관한 보고서를 제출할 것을 결의했다. 또한 일본군'위안부'문제를 포함한 전시노예제에 관한 예비연구를 하도록 요청하는 결의를 채택했다.
[2001-07-01] VAWWRAC 등, NHK 편파보도에 대해 제소D0790-1
일본방송협회(NHK)의 여성국제전범법정 다큐멘터리 <전쟁을 어떻게 심판할 것인가>는 법정의 취지를 왜곡하거나 판결 장면을 삭제하는 등 왜곡된 내용을 보도하였다. 따라서 VAWW-VET JAPAN은 NHK, NEP, DJ를 대상으로 왜곡 및 오보에 대한 제소를 진행하였다. 2008년 일본 최고 법원은 편집의 자유를 강조하며 무죄를 선고했다. 하지만 일본 방송 윤리 및 프로그램 향상 기구에선 언론의 자유 및 자립성을 위협하고 신뢰를 해친다고 판단했다.
[2001-01-30] NHK, 여성국제전범법정을 다룬 <전쟁을 어떻게 심판할 것인가> 보도D0768-1
일본방송협회(NHK)의 여성국제전범법정 다큐멘터리 <전쟁을 어떻게 심판할 것인가>는 법정의 취지를 왜곡하거나 판결 장면을 삭제하는 등 왜곡된 내용을 보도하였다. 따라서 VAWW-VET JAPAN은 NHK, NEP, DJ를 대상으로 왜곡 및 오보에 대한 제소를 진행하였다. 2008년 일본 최고 법원은 편집의 자유를 강조하며 무죄를 선고했다. 하지만 일본 방송 윤리 및 프로그램 향상 기구에선 언론의 자유 및 자립성을 위협하고 신뢰를 해친다고 판단했다.
[2016-07-25] 정대협, '화해치유재단' 설립 강행 규탄 기자회견 개최D1854
일본군'위안부' 피해자들을 기만하고 일방적인 '화해치유재단' 설립 강행 하는 한국정부 규탄 기자회견을 개최했다.
[2011-10-19] 정대협, 일본 총리 방한 및 한일 정상회담 관련 시민행동 전개D1615
일본 노다 요시히코 총리 방한과 한일 정상회담을 앞두고 일본군'위안부' 문제해결을 촉구하는 시민행동을 전개했다.
[인물] 강혜정PEO0309
전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 운영위원 및 현 정의기억연대 이사. 1991년 도쿄 증언집회에서 김학순 등의 통역을 맡은 것을 계기로 일본군'위안부'문제해결운동에 함께했다. 2003년 이후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 실행이사 등을 맡았으며 제7차 아시아연대회의에서 발표했다.
[인물] 김경희PEO0740
전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 총무.
[2018-08-14] 정의연, 세계무력 성폭력 관련 국제심포지엄 개최D1981-2
국제심포지엄 "73년간의 기다림, 마침내 해방!-세계무력분쟁 성폭력 생존자들의 목소리" 개최했다.
[인물] 강덕경PEO0632
한국의 일본군'위안부'피해생존자이자 인권운동가. 1944년 근로정신대 1기생으로 연행되어 비행기공장에서 배고픔과 중노동을 이기지 못해 탈출을 시도하였으나 헌병에게 잡혀 '위안부'로 강제동원되었다. 1992년 커밍아웃한 뒤 위안소에서 경험을 그림으로 그려 <빼앗긴 순정>, <사죄하라>, <책임자 처벌> 등 많은 작품을 남겼으며 국민기금 반대 운동 등에 적극적으로 참여했다. 강덕경의 작품활동과 국민기금 반대운동 등이 변영주 감독의 <낮은 목소리 1, 2>에 담겼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