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검색안내 보기

출처: [blank]
Creator Date Title Identifier Language
[인물] 이케다 에리코PEO0944
전 '여성들의전쟁과평화자료관(WAM)' 관장이자 저널리스트. 대학교 졸업 후 NHK에 입사하여 일본군'위안부' 문제, 여성인권, 태평양전쟁 등을 다뤘다. 1997년 영상제작단체 '비디오 학교(ビデオ塾)'를 결성하여 피해생존자나 일본군을 영상으로 기록했다. "산시성 성폭력 피해자 손해배상 등 청구사건" 지원 및 여성국제전범법정 실행위원, WAM건립위원 등으로 활동했으며, 2010년부터 2018년까지 WAM 관장을 역임했다. 또한 제7차, 11차 아시아연대회의에 참석하여 발표했다.
[인물] 송신도PEO0757
재일조선인 일본군'위안부'피해생존자이자 인권운동가. 1993년 “재일 전 종군위안부 사죄보상청구소송”을 제소했다. 이후 여성국제전범법정, 아시아연대회의 등에서 증언하며 활발하게 활동했다. 안해룡감독의 다큐멘터리 영화 <나의 마음은 지지 않았다>에서 송신도의 삶을 다루었다.
[인물] 후쿠시마 미즈호PEO0657
일본 여성인권변호사이자 참의원의원. 김학순이 제소한 “아시아태평양전쟁 한국인희생자 보상청구소송” 담당 변호사. 1998년 참의원으로 당선되어 2003년 사회당 당대표로 취임했다. 2008년 <전시 성적 강제 피해자 문제 해결 촉진을 위한 법률안>을 제출했다.
[인물] 마이클 마코토 혼다PEO0459
미국연방 하원의원. 미국 민주당 소속 정치인이자 제110~114대 하원의원. 일리노이주 민주당 의원들이 1997년부터 미국 의회에 지속적으로 제출한 결의안을 이어받아 2007년 상정했다. 2007년 미국 연방의회 일본군 위안부 사죄 결의안(House Resolution 121, 약칭 HR121)이 통과되었다.
[인물] 이효재PEO0285
전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 대표이자 연구자. 한국 여성운동에 윤정옥을 소개하여 일본군'위안부' 문제해결 운동이 촉발하는 계기를 제공했다. 남북일 여성회의인 “아시아의평화와여성의역할” 개최에 함께하고 유엔, 국제노동기구 등에서 일본군'위안부' 문제를 알렸다. 박정희가 이이효재의 삶을 정리해 도서 <이이효재>로 출간했다.
[인물] 방청자PEO0170
재일조선인 여성운동활동가이자 '일본군'위안부'문제 간사이네트워크' 공동대표. 1989년 윤정옥이 <한겨레>에 게재한 기사를 번역 및 관련자료를 수집하고, 1991년 <은폐된 역사에 지금 빛을! 조선인 종군위안부>를 발간했으며 1992년 4월 일본 내 신고전화 '종군위안부 110번' 개설에도 함께했다. 2000년대 중반 전국동시증언집회, 일본 지방의회 결의안 채택 운동 등을 펼쳤다. <민족해방과 여성해방을 바라면서(한국여성신학, 2002)>에 1990년대 활동에 대해 정리했다.
[인물] 요시카와 하루코PEO0151
일본 여성운동활동가이자 전 참의원 의원. 2001년 <전시성적강제피해자문제 해결촉진에 관한 법률안(약칭 3야당법안)>을 공동 제출했다. 제10차 아시아연대회의에서 일본군'위안부' 문제 입법해결 운동에 대해 발표했다.
[인물] 윤미향PEO0101
전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 대표 및 정의기억연대 이사장. 21대 국회의원. 1990년대 초기 일본군'위안부' 문제해결 운동에 함께하여 국민기금 반대 운동, 여성국제전범법정, 결의안 통과 운동 등 다양한 활동을 펼쳤다. 제1차, 6차, 8~15차 아시아연대회의에서 발표했다.
[인물] 마쓰이 야요리PEO0046
여성운동활동가이자 저널리스트, '아시아여성자료센터' 설립자. '아시아여성들의모임', '아시아여성자료센터', '바우넷재팬' 전 대표. 1998년 제6차 아시아연대회의에서 여성국제전범법정을 발의했다.
[인물] 와타나베 미나PEO0176
'여성들의전쟁과평화자료관(WAM)' 관장. 아시아여성자료센터', '바우넷재팬', '일본군'위안부'문제해결을위한전국행동' 등에서 활동했다. NHK 편파보도 소송, UN 등 국제사회 로비활동 등 다양한 활동을 펼쳤으며, 2019년 '여성들의전쟁과평화자료관(WAM)'관장으로 취임하였다. 제6, 10, 11차 아시아연대회의에서 발표했다.
[인물] 니시노 루미코PEO0097
일본 여성운동활동가이자 전 '바우넷재팬' 공동대표. 1990년 초반부터 일본군'위안부'문제해결 운동에 함께하여 국민기금 반대운동, 여성국제전범법정, NHK 편파보도에 대한 소송 운동 등을 펼쳤다. 제5~9차 아시아연대회의에서 발표했다.
[인물] 시미즈 기요코PEO0071
일본 연구자이자 '여성.전쟁.인권학회' 전 대표.
[인물] 나카하라 미치코PEO0047
'전시여성폭력일본연구액션센터(VAWW-RAC)' 공동대표이자 동남아시아사 연구자. 현 '전시여성폭력일본연구액션센터(VAWW-RAC)' 공동대표이자 '여성.전쟁.인권학회' 창립멤버. 여성국제전범법정 당시 '바우넷재팬' 부대표를 맡아 일본 측 사무 및 모금 등을 담당했다. 2006년부터 미야코지마 위안소 조사에 참여했으며 미야코지마 아리랑비 설립에 함께했다. 저서 <역사는 먹으로 칠할 수 없다(2015)> 등 다수가 있다.
[인물] 김복동PEO0079
한국의 일본군'위안부'피해생존자이자 인권운동가. 1940년 일본군'위안부'로 동원되어 1947년 미군포로수용소에 수감되었다가 귀국했다. 1992년 커밍아웃을 한 뒤 제1차 아시아연대회의, 1993년 비엔나 세계인권대회에서 증언했다. 이후 잠시 활동을 쉬다가 2010년 정대협 운영 '평화의 우리집'에서 생활하기 시작하고 의료 지원 등을 받으면서 활동을 재개했다. 영화 <낮은 목소리2>, <김복동>에서 김복동의 삶을 그렸다.
[인물] 고빈 켈커PEO1980
인도의 연구자. 중국 정치경제학 박사이자 태국 아시아공과대학(AIT) 겸임교수. '여성법개발에관한아시아태평양포럼(APWLD)' 대표로 제1차 아시아연대회의에서 발표했다.
[인물] 솜키드 마이샤PEO1725
홍콩 '아시아이주자센터' 대표로 제1차 아시아연대회에서 발표했다.
[인물] 차오진아이PEO1179
중국 일본군'위안부'피해생존자 자오룬메이(趙潤梅)의 유족.
[2006-08-09] 제721차 수요시위 및 해방 61주년 세계연대의 날 집회 개최D1211-1
9개국 15개 도시에서 "해방 61주년 일본군'위안부' 문제해결을 위한 제721차 수요세계연대집회"를 개최했다.
[2008-09-07] "오키나와 미야코지마 일본군'위안부' 추모비 제막식" 개최D1347
"오키나와 미야코지마 일본군'위안부' 추모비 제막식" 개최했다.
[2009-09-06] 정대협, "오키나와 미야코지마 아리랑 추모비 1주년 기념행사" 참석D1487
"오키나와 미야코지마 아리랑 추모비 1주년 기념행사"에 참가했다.
[2004-09-06] 한국정부, <일제강점하강제동원피해진상규명법> 제정D1011-1
한국정부는 <일제강점하강제동원피해진상규명등에관한특별법>을 제정하여 '일제강점하강제동원피해진상규명위원회'를 설치하고 일본 강제동원 피해에 대한 조사를 시행하였다.
[2001-04-01] 일본 문부과학성, 역사부정주의 교과서에 대한 검정 통과D0823-1
일본 문부과학성은 '새로운역사교과서를만드는모임'에서 제작한 후소샤 역사교과서 검정을 통과시켰다. 후소샤 역사교과서는 일본군'위안부' 문제에 대한 기술을 삭제하고 일본의 침략전쟁을 미화하는 등의 문제를 가졌다. 따라서 정대협, 민족문제연구소 등 60여개 단체가 모여 '한일교과서 바로잡기운동본부'를 결성하였다.
[1992-10-31] 일본군'위안부' 피해생존자 생활시설 '나눔의집' 개소D0117-1
서울시 마포구에 일본군'위안부' 피해생존자를 위한 생활시설 '나눔의집'을 개소했다.
[인물] 넬리아 산초PEO0238
필리핀 여성운동활동가이자 '가브리엘라여성회' 공동설립자. 1970년대 필리핀 민주화 운동에 참여하고 '가브리엘라여성회'를 조직했다. 1991년 일본군'위안부'문제가 알려지자 필리핀 조사활동, 피해생존자 지원 등을 시작했다. 제1-4차 아시아연대회의에 참석하여 발표했다.
[인물] 최금춘PEO1982
’종군위안부및태평양전쟁피해자보상대책위원회‘ 상무위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