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검색안내 보기

기록유형: 문서류언어: 한국어키워드: 여성국제전범법정키워드: 제6차 아시아연대회의
Creator Date Title Identifier Language
  • 조선일본군위안부및강제연행피해자보상대책위원회
  • 2003-04-25
제6차 아시아연대회의 조선일본군위안부및강제연행피해자보상대책위원회의 연대사 (한국어)IT00004073-C5
  • 한국어
제6차 아시아연대회의 조선일본군위안부및강제연행피해자보상대책위원회의 연대사 (한국어)
<제6차 아시아연대회의 자료집(00004073)>의 12~13페이지를 분할한 자료. 북한의 '조선일본군위안부및강제연행피해자보상대책위원회'가 니시노 루미코(전시여성폭력일본네트워크 공동대표)를 경유하여 보낸 연대사이다.
  • 윤미향
  • 2003-04-25
제6차 아시아연대회의 한국 윤미향의 발표문 (한국어)IT00004073-C10
  • 한국어
<제6차 아시아연대회의 자료집(00004073)>의 17~29페이지를 분할한 자료. 윤미향(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 사무총장)의 발표문으로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 활동을 보고한다.
  • 방청자
  • 2003-04-25
제6차 아시아연대회의 재일 방청자의 발표문 (한국어)IT00004073-C12
  • 한국어
<제6차 아시아연대회의 자료집(00004073)>의 36~39페이지를 분할한 자료. 방청자(재일한국민주여성회오사카본부 회장)의 발표문으로 '재일한국민주여성회'의 활동을 보고하고 앞으로의 과제를 이야기한다. 2002년 9월 북일 정상회담 및 재일한인 납치문제와 관련한 '재일한국민주여성회'의 호소문이 첨부되어 있다.
  • 김영
  • 2003-04-25
제6차 아시아연대회의 재일 김영의 발표문 (한국어)IT00004073-C13
  • 한국어
<제6차 아시아연대회의 자료집(00004073)>의 40~42페이지를 분할한 자료. 김영(전시여성폭력일본네트워크 조사팀)의 발표문으로 재일조선인 연구자로서의 경험을 이야기한다.
  • 니시노 루미코
  • 2003-04-25
제6차 아시아연대회의 일본 니시노 루미코의 발표문 (한국어)IT00004073-C14
  • 한국어
<제6차 아시아연대회의 자료집(00004073)>의 43~46페이지를 분할한 자료. 니시노 루미코(전시여성폭력일본네트워크 공동대표)의 발표문으로 여성국제전범법정 이후의 활동을 소개하고, 여성국제전범법정의 판결을 실현하기 위한 국제적 캠페인을 제안한다.
  • 시미즈 기요코
  • 2003-04-25
제6차 아시아연대회의 일본 시미즈 기요코의 발표문 (한국어)IT00004073-C15
  • 한국어
<제6차 아시아연대회의 자료집(00004073)>의 47~48페이지를 분할한 자료. 시미즈 기요코(여성·전쟁·인권 학회 대표)의 발표문으로 '여성.전쟁.인권학회'의 활동을 보고한다.
  • 전시여성폭력일본네트워크
  • 2003-04-25
제6차 아시아연대회의 전시여성폭력일본네트워크의 발표문 (한국어)IT00004073-C19
  • 한국어
제6차 아시아연대회의 전시여성폭력일본네트워크의 발표문 (한국어)
<제6차 아시아연대회의 자료집(00004073)>의 66~79페이지를 분할한 자료. '전시여성폭력일본네트워크'의 발표문으로 여성국제전범법정의 목적, 개최를 위한 노력, 실행과정과 영향, 언론보도 결과, 향후 과제, 판결 권고를 실현하기 위한 행동 제안 등을 이야기한다. 목차는 다음과 같다. 서론 : 책임자 처벌 제기에 대해서 1. 여성 국제전범 법정의 개최 목적 및 도달점 2. 여성국제전범 법정의 실현을 위해서 3. 국제연대에 의한 국제적인 운동의 실현 4. 기소장작성에서 판단까지 5. 일본사회에 끼친 영향 6. 미디어와 보도 7. 기억과 보존의 의미와 의의 8. 직면한 어려움과 향후 과제 9. 판결 권고를 질현하기 위한 행동 제안
  • 도쓰카 에쓰로
  • 2003-04-25
제6차 아시아연대회의 일본 도쓰카 에쓰로의 발표문 (한국어)IT00004073-C22
  • 한국어
<제6차 아시아연대회의 자료집(00004073)>의 90~93페이지를 분할한 자료. 도쓰카 에쓰로(류코쿠대학교 법학부 교수)의 발표문으로 2000년 여성국제전범법정 판결이 담고 있는 군성노예에 관한 국제법상의 원칙을 유엔 원칙으로 만들자고 주장한다.
  • 박찬운
  • 2003-04-25
제6차 아시아연대회의 한국 박찬운의 발표문 (한국어)IT00004073-C23
  • 한국어
<제6차 아시아연대회의 자료집(00004073)>의 94~101페이지를 분할한 자료. 박찬운(변호사,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 법률전문위원장)의 발표문으로 목차는 다음과 같다. 1. 국제기구 및 여성법정의 결론 2. 향후 운동방향 제1: ILO에 의한 ICJ의 권고적 의견 3. 향후 운동방향 제2: 유럽에서의 형사소추 4. 향후 운동방향 제3: 미국에서의 소송 5. 향후 운동방향 제4: 일본에서의 특별입법 등의 추진
  • 박찬운
  • 2003-04-25
제6차 아시아연대회의 박찬운의 발표문 (한국어)IT00000030-C009
  • 한국어
박찬운(변호사,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 법률전문위원장)의 제6차 아시아연대회의 발표문으로 목차는 다음과 같다. 1. 국제기구 및 여성법정의 결론 2. 향후 운동방향 제1: ILO에 의한 ICJ의 권고적 의견 3. 향후 운동방향 제2: 유럽에서의 형사소추 4. 향후 운동방향 제3: 미국에서의 소송 5. 향후 운동방향 제4: 일본에서의 특별입법 등의 추진
  • 요코타 유이치
  • 2003-04-25
제6차 아시아연대회의 요코타 유이치의 발표문 (한국어)IT00000030-C010
  • 한국어
제6차 아시아연대회의 요코타 유이치의 발표문 (한국어)
2000년 여성국제법정 일본측 검사로 활동한 요코타 유이치(변호사)의 제6차 아시아연대회의 발표문이다. '전시여성폭력일본네트워크'에서 작성한 <무력분쟁 하에서의 중대한 성폭력 피해자 구제에 관한 준칙> 초안이 첨부되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