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검색안내 보기

기록유형: 문서류언어: 한국어출처: 정의기억연대 외키워드: 국민기금
검색 필터
검색 필터
목록유형
  • 기록
기록유형
  • 문서류
  • 일반문서
기술계층
출처
언어
연대
생산자
지역/장소
키워드
컬렉션
  • 아시아연대회의 컬렉션
Creator Date Title Identifier Language
  • 여성들의전쟁과평화자료관
  • 위안부문제해결올연대네트워크
  • 전시여성폭력일본네트워크
  • 2008-09-13
일본 NGO들이 유엔자유권규약위원회(UNHRC)에 공동 제출한 보고문 (한국어)IT00003905-C65
  • 한국어
일본 NGO들이 유엔자유권규약위원회(UNHRC)에 공동 제출한 보고문 (한국어)
<제9차 아시아연대회의 자료집(00003905)>의 99~106페이지를 분할한 자료. 일본의 '여성들의전쟁과평화자료관', '위안부문제해결올연대네트워크', '바우넷재팬'이 유엔자유권규약위원회(UNHRC)에 공동 제출한 보고문. 일본 정부가 '위안부'제도에 대한 법적책임을 인정하고 생존자 및 지원자들과 진지하게 협의하여 피해자들의 증언을 공식적으로 듣고 기록하여 아직 생존해 있는 범죄자들을 조사 및 기소하고, 명확한 사죄와 권리로서의 보상을 피해자들에게 제공하도록 권고한다. 목차는 다음과 같다. 1)주제 2)ICCPR 관련조문 3)정부 레포트 안의 응답 4)「리스트 오크 잇슈」에 대한 CCPR의 언급 5)「문제 리스트」에 대한 NGO의 정보 (A)'종군위안부'문제에 관한 일본의 법적책임 (B)범죄인 조사와 기소에 대한 불이행 (C)일반대중 교육의 불이행 (D)피해자들에 대한 보상 불이행 6)권고
  • 제9차 아시아연대회의 실행위원회
  • 2008-11-23
제9차 아시아연대회의 일본 보고 및 제안 (한국어)IT00003905-C19
  • 한국어
제9차 아시아연대회의 일본 보고 및 제안 (한국어)
<제9차 아시아연대회의 자료집(00003905)>의 18~23페이지를 분할한 자료. '위안부'문제에 관한 일본 상황, 일본에서의 활동, 앞으로의 활동방침을 보고한다.
  • 조선일본군위안부및강제연행피해자보상대책위원회
  • 2008-11-23
제9차 아시아연대회의 북한 조선일본군성노예및강제연행피해자보상대책위원회의 활동 보고 (한국어)IT00000191-C1
  • 한국어
제9차 아시아연대회의 북한 조선일본군성노예및강제연행피해자보상대책위원회의 활동 보고 (한국어)
<제9차 아시아연대회의 자료집(00000191)>의 41~43페이지를 분할한 자료. 북한의 활동보고로, 1.우리 나라의 일본군성노예피해자들의 실태 2. 일본군성노예문제해결을 위한 조선 일본군'위안부' 및 강제연행피해자보상대책위원회의 활동 3. 일본의 과거청산에 대한 우리의 요구로 구성되어 있다.
  • 일본군위안부문제행동네트워크
  • 2008-11-23
제9차 아시아연대회의 일본군위안부문제행동네트워크 활동 보고 (한국어)IT00000191-C4
  • 한국어
제9차 아시아연대회의 일본군위안부문제행동네트워크 활동 보고 (한국어)
<제9차 아시아연대회의 자료집(00000191)>의 71페이지를 분할한 자료. 1992년 결성된 이후 일본군'위안부'문제행동 네트워크(행동Net)의 간단한 활동내역과 제2기 행동네트워크의 출범, 2007~2008년의 활동내역에 대한 내용이 포함되어 있다.
  • 인도네시아일본군위안부지원네트워크
  • 2007-05-20
제8차 아시아연대회의 인도네시아 에카 힌드라티의 발표문 (한국어)IT00004075-C35
  • 한국어
제8차 아시아연대회의 인도네시아 에카 힌드라티의 발표문 (한국어)
<제8차 아시아연대회의 보고용 자료집(00004075)>의 92~95페이지를 분할한 자료. '인도네시아일본군위안부지원네트워크'을 소개하고 앞으로의 활동 계획을 밝힌다.
  • 제8차 아시아연대회의 참가자 일동
  • 2007-05-21
제8차 아시아연대회의 결의문 (한국어)IT00004075-C5
  • 한국어
제8차 아시아연대회의 결의문 (한국어)
<제8차 아시아연대회의 보고용 자료집(00004075)>의 16~17페이지를 분할한 자료. 각국 의회 결의안 채택 지원, 일본 정부의 '고노 담화' 재검토 움직임 반대, 일본 정부의 유엔인권기구의 권고 실행 요구, 각국 네트워크 활동을 통한 민간 차원의 역사 기록과 교육, 아시아연대회의의 국제적 확대를 결의한다.
  • 니시노 루미코
  • 2007-05-20
제8차 아시아연대회의 니시노 루미코의 발표문 (한국어)IT00004075-C15
  • 한국어
제8차 아시아연대회의 니시노 루미코의 발표문 (한국어)
<제8차 아시아연대회의 보고용 자료집(00004075)>의 44~55페이지를 분할한 자료. 제8차 아시아연대회의 니시노 루미코(여성들의전쟁과평화자료관)의 발표문으로 일본군'위안부' 문제를 둘러싼 일본의 현 상황과 국민기금에 관해 이야기한다. 다음의 붙임자료가 포함되어 있다. 1. 쇼지 루쓰코(VAWW-NET저팬 공동대표), 「여성국제전범법정」(2000년 12월) NHK프로그램 개찬 재판보고 2. 우에다 사키코(VAWW-NET저팬 운영위원), 일본의 군사국가화와 악법제정의 움직임 "시민의 투쟁" 3. 이케다 에리코(액티브 뮤지엄「여성들의 전쟁과 평화자료관」운영위원장), 「저항의 거점」, 액티브 뮤지엄 「여성들의 전쟁과 평화자료관」[박물관 건립 : WAM]
  • 릴라필리피나
  • 2007-05-20
제8차 아시아연대회의 필리핀 레칠다 엑스트리마두라의 발표문 (한국어)IT00004075-C34
  • 한국어
<제8차 아시아연대회의 보고용 자료집(00004075)>의 89~91페이지를 분할한 자료. '릴라필리피나' 활동을 보고하고 일본 정부에 바라는 4가지 요구사항을 밝힌다.
  • 제8차 아시아연대회의 참가자 일동
  • 2007-05-21
제8차 아시아연대회의 결의문 (한국어)IT00004056
  • 한국어
제8차 아시아연대회의 결의문 (한국어)
각국 의회 결의안 채택 지원, 일본 정부의 '고노 담화' 재검토 움직임 반대, 일본 정부의 유엔인권기구의 권고 실행 요구, 각국 네트워크 활동을 통한 민간 차원의 역사 기록과 교육, 아시아연대회의의 국제적 확대를 결의한다.
  • 아네리엣 드 파이퍼
  • 2005-02-13
제7차 아시아연대회의 네덜란드 아네리엣 드 파이퍼의 발표문 (한국어)IT00000093-C18
  • 한국어
<제7차 아시아연대회의 자료집(00000093)>의 90~92페이지를 분할한 자료. 국민기금에 관한 '일본의도의적책임을묻는재단'의 의견을 밝히고 네덜란드 일본군'위안부' 피해생존자들의 현재 상황을 보고한다.
  • 심달연
  • 2005-02-13
제7차 아시아연대회의 심달연의 증언 (한국어)IT00000093-C19
  • 한국어
제7차 아시아연대회의 심달연의 증언 (한국어)
<제7차 아시아연대회의 자료집(00000093)>의 93~94페이지를 분할한 자료. 한국의 일본군'위안부' 피해생존자 심달연이 중국으로 연행되었을 때의 상황과 본인 명의로 국민기금이 거짓 지급된 것이 아닌지 생각하게 된 사연을 정리한 글이다.
  • 전시여성폭력일본네트워크
  • 2005-02-12
제7차 아시아연대회의 일본 바우넷재팬의 발표문 (한국어)IT00000093-C2
  • 한국어
제7차 아시아연대회의 일본 바우넷재팬의 발표문 (한국어)
<제7차 아시아연대회의 자료집(00000093)>의 3~20페이지를 분할한 자료. <국민기금의 문제점과 이 후의 대처 방안>을 제목으로 하며, 국민기금의 문제점, 일본 정부에 대한 국제사회의 권고, 일본 정부의 공약과 그에 반하는 상황을 차례로 이야기하고 앞으로의 운동을 제안한다. 참고자료로 유엔 등 국제기구의 권고 목록, 1990년대부터 2003년 사이 일본 정부 및 정치인들의 일본군'위안부' 문제 관련 발언 및 폭언 목록이 붙어있다.
  • 미야케 가즈코
  • 2005-02-12
제7차 아시아연대회의 일본 미야케 가즈코의 발표문 (한국어)IT00000093-C3
  • 한국어
<제7차 아시아연대회의 자료집(00000093)>의 21~22페이지를 분할한 자료. 일본군'위안부' 문제 관련 입법화 운동의 방안을 이야기한다.
  • 니시노 루미코
  • 2005-02-12
제7차 아시아연대회의 일본 니시노 루미코의 발표문 (한국어)IT00000093-C9
  • 한국어
<제7차 아시아연대회의 자료집(00000093)>의 48~51페이지를 분할한 자료. 2001년 1월 30일 일본 NHK에서 방송된 <전쟁을 어떻게 심판할 것인가 - 전시 성폭력을 묻는다> 프로그램에 정치적 압력이 개입한 의혹을 이야기한다.
  • 타이페이부녀구원기금회
  • 2005-02-13
제7차 아시아연대회의 대만 타이페이부녀구원기금회의 발표문 (한국어)IT00000093-C17
  • 한국어
제7차 아시아연대회의 대만 타이페이부녀구원기금회의 발표문 (한국어)
<제7차 아시아연대회의 자료집(00000093)>의 85~89페이지를 분할한 자료. 목차는 다음과 같다. 1. 생존자의 현황 2. 일본에 대한 배상청구와 운동의 진행 3. '아시아 여성기금'을 거부하며 4. 대만 정부 및 민간사회에 의한 할머니들을 위한 응원활동 5. 행동계획의 제안
  • 제7차 아시아연대회의 참가자 일동
  • 2005-02-13
제7차 아시아연대회의 결의문 (한국어)IT00004008
  • 한국어
제7차 아시아연대회의 결의문 (한국어)
일본군'위안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5가지 긴급행동과 6가지 국제연대행동을 결의한다.
  • 파울루스 마후렛
  • 2003-04-25
제6차 아시아연대회의 인도네시아 파울루스 마후렛의 발표문 (한국어)IT00004073-C20
  • 한국어
<제6차 아시아연대회의 자료집(00004073)>의 80~83페이지를 분할한 자료. 파울루스 마후렛(변호사)의 발표문으로 일본 정부의 국민기금에 대한 인도네시아 정부의 문제적 태도를 지적한다.
  • 제3차 아시아연대회의 참가자 일동
  • 1995-02-28
제3차 아시아연대회의 결의문 (한국어)IT00000002
  • 한국어
제3차 아시아연대회의 결의문 (한국어)
1995년 2월 27일부터 3월 1일까지 서울에서 열린 제3차 아시아연대회의의 결의문이다.
  • 파울루스 마후렛
  • 1998-04-15
제5차 아시아연대회의 인도네시아 파울루스 마후렛의 발표문 (한국어)IT00001575-C7
  • 한국어
<제5차 아시아연대회의 자료집(00001575)>의 18~20페이지를 분할한 자료. 인도네시아 대표 파울루스 마후렛(변호사, LBH Jakarta)의 발표문으로 인도네시아에서의 일본군'위안부' 문제 현황과 피해생존자를 위한 노력을 이야기한다.
  • 허비전
  • 1998-04-15
제5차 아시아연대회의 대만 허비전의 발표문 (한국어)IT00001575-C8
  • 한국어
<제5차 아시아연대회의 자료집(00001575)>의 21~22페이지를 분할한 자료. 대만 대표 허비전(타이페이부녀구원기금회)의 발표문으로 대만에서 이루어지는 일본군'위안부' 배상 요구 운동을 이야기한다.
  • 김영희1
  • 1998-04-16
제5차 아시아연대회의 재일 김영희의 발표문 (한국어)IT00001575-C16
  • 한국어
<제5차 아시아연대회의 자료집(00001575)>의 44~48페이지를 분할한 자료. 국민기금을 둘러싼 공방을 이야기하고 국민기금을 평가하며, '전후보상실현시민기금'과 '리드레스국제캠페인'의 활동을 보고한다.
  • 스즈키 유코
  • 1998-04-16
제5차 아시아연대회의 일본 스즈키 유코의 발표문 (한국어)IT00001575-C17
  • 한국어
<제5차 아시아연대회의 자료집(00001575)>의 49~54페이지를 분할한 자료. 제1차부터 제4차까지 열린 아시아연대회의의 쟁점과 성과, 앞으로의 과제를 분석한다.
  • 니시노 루미코
  • 1998-04-16
제5차 아시아연대회의 일본 니시노 루미코의 발표문 (한국어)IT00001575-C18
  • 한국어
<제5차 아시아연대회의 자료집(00001575)>의 55~60페이지를 분할한 자료. 진상규명을 위한 입법화 운동, 구체적 과제, 앞으로의 계획을 이야기하고 국민기금 현황을 덧붙인다.
  • 마쓰이 야요리
  • 1998-04-16
제5차 아시아연대회의 일본 마쓰이 야요리의 발표문 (한국어)IT00001575-C19
  • 한국어
<제5차 아시아연대회의 자료집(00001575)>의 61~67페이지를 분할한 자료. 마쓰이 야요리(아시아여성자료센터 대표)의 발표문으로 일본군'위안부' 문제 해결 운동의 전개와 평가, 앞으로의 행동제안을 이야기한다.
  • 제5차 아시아연대회의 참가자 일동
  • 1998-04-17
제5차 아시아연대회의 결의문 (한국어)IT00001575-C22
  • 한국어
제5차 아시아연대회의 결의문 (한국어)
<제5차 아시아연대회의 자료집(00001575)>의 73~74페이지를 분할한 자료. 제5차 아시아연대회의 결의문으로 운동의 성과와 앞으로 수행할 4가지 공동과제를 확인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