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검색안내 보기

기록유형: 문서류언어: 한국어키워드: 국민기금키워드: 제7차 아시아연대회의
Creator Date Title Identifier Language
  • 아네리엣 드 파이퍼
  • 2005-02-13
제7차 아시아연대회의 네덜란드 아네리엣 드 파이퍼의 발표문 (한국어)IT00000093-C18
  • 한국어
<제7차 아시아연대회의 자료집(00000093)>의 90~92페이지를 분할한 자료. 국민기금에 관한 '일본의도의적책임을묻는재단'의 의견을 밝히고 네덜란드 일본군'위안부' 피해생존자들의 현재 상황을 보고한다.
  • 심달연
  • 2005-02-13
제7차 아시아연대회의 심달연의 증언 (한국어)IT00000093-C19
  • 한국어
제7차 아시아연대회의 심달연의 증언 (한국어)
<제7차 아시아연대회의 자료집(00000093)>의 93~94페이지를 분할한 자료. 한국의 일본군'위안부' 피해생존자 심달연이 중국으로 연행되었을 때의 상황과 본인 명의로 국민기금이 거짓 지급된 것이 아닌지 생각하게 된 사연을 정리한 글이다.
  • 전시여성폭력일본네트워크
  • 2005-02-12
제7차 아시아연대회의 일본 바우넷재팬의 발표문 (한국어)IT00000093-C2
  • 한국어
제7차 아시아연대회의 일본 바우넷재팬의 발표문 (한국어)
<제7차 아시아연대회의 자료집(00000093)>의 3~20페이지를 분할한 자료. <국민기금의 문제점과 이 후의 대처 방안>을 제목으로 하며, 국민기금의 문제점, 일본 정부에 대한 국제사회의 권고, 일본 정부의 공약과 그에 반하는 상황을 차례로 이야기하고 앞으로의 운동을 제안한다. 참고자료로 유엔 등 국제기구의 권고 목록, 1990년대부터 2003년 사이 일본 정부 및 정치인들의 일본군'위안부' 문제 관련 발언 및 폭언 목록이 붙어있다.
  • 미야케 가즈코
  • 2005-02-12
제7차 아시아연대회의 일본 미야케 가즈코의 발표문 (한국어)IT00000093-C3
  • 한국어
<제7차 아시아연대회의 자료집(00000093)>의 21~22페이지를 분할한 자료. 일본군'위안부' 문제 관련 입법화 운동의 방안을 이야기한다.
  • 니시노 루미코
  • 2005-02-12
제7차 아시아연대회의 일본 니시노 루미코의 발표문 (한국어)IT00000093-C9
  • 한국어
<제7차 아시아연대회의 자료집(00000093)>의 48~51페이지를 분할한 자료. 2001년 1월 30일 일본 NHK에서 방송된 <전쟁을 어떻게 심판할 것인가 - 전시 성폭력을 묻는다> 프로그램에 정치적 압력이 개입한 의혹을 이야기한다.
  • 강혜정
  • 2005-02-13
제7차 아시아연대회의 한국 강혜정의 발표문 (한국어)IT00000093-C13
  • 한국어
<제7차 아시아연대회의 자료집(00000093)>의 62~71페이지를 분할한 자료. 목차는 다음과 같다. 1. 60년이 지난 지금 2. 끝나지 않은 일본의 국가책임 3. 아시아 연대 활동을 위한 제안
  • 타이페이부녀구원기금회
  • 2005-02-13
제7차 아시아연대회의 대만 타이페이부녀구원기금회의 발표문 (한국어)IT00000093-C17
  • 한국어
제7차 아시아연대회의 대만 타이페이부녀구원기금회의 발표문 (한국어)
<제7차 아시아연대회의 자료집(00000093)>의 85~89페이지를 분할한 자료. 목차는 다음과 같다. 1. 생존자의 현황 2. 일본에 대한 배상청구와 운동의 진행 3. '아시아 여성기금'을 거부하며 4. 대만 정부 및 민간사회에 의한 할머니들을 위한 응원활동 5. 행동계획의 제안
  •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
  • 2005-00-00
국민기금 사무실 방문 예상 시나리오 (한국어)IT00004007
  • 한국어
국민기금 사무실 방문 예상 시나리오 (한국어)
제7차 아시아연대회의 마지막 날인 2005년 2월 14일 국민기금 사무실을 방문하기 전 작성한 시나리오. 국민기금 측의 예상 답변과 그에 따른 후속 조치를 미리 계획한 문서다.
  • 제7차 아시아연대회의 참가자 일동
  • 2005-02-13
제7차 아시아연대회의 결의문 (한국어)IT00004008
  • 한국어
제7차 아시아연대회의 결의문 (한국어)
일본군'위안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5가지 긴급행동과 6가지 국제연대행동을 결의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