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검색안내 보기

기록유형: 문서류언어: 일본어키워드: 제6차 아시아연대회의
Creator Date Title Identifier Language
  • 와타나베 미나
  • 2003-04-25
제6차 아시아연대회의 일본 와타나베 미나의 발표문 (일본어)IT00000043-C22
  • 일본어
<제6차 아시아연대회의 자료집(00000043)>의 61~63페이지를 분할한 자료. 와타나베 미나(전시여성폭력일본네트워크 국제캠페인 담당)의 발표문으로 지난 1년 간 '전시여성폭력일본네트워크'가 수행한 국제기구 활동과 2000년 여성국제전범법정 판결에서 법적 원칙을 끌어내 성문화하는 작업을 보고한다.
  • 요코타 유이치
  • 2003-04-25
제6차 아시아연대회의 일본 요코타 유이치의 발표문 (일본어)IT00000043-C23
  • 일본어
<제6차 아시아연대회의 자료집(00000043)>의 64~69페이지를 분할한 자료. 요코타 유이치(변호사, 여성국제전범법정 일본검사단)의 발표문이다. '전시여성폭력일본네트워크'에서 작성한 <무력분쟁 하에서의 중대한 성폭력 피해자 구제에 관한 준칙> 초안이 첨부되어 있다.
  • 히가시자와 야스시
  • 2002-05-11
제6차 아시아연대회의 히가시자와 야스시의 자료 (일본어)IT00000043-C25
  • 일본어
제6차 아시아연대회의 히가시자와 야스시의 자료 (일본어)
<제6차 아시아연대회의 자료집(00000043)>의 70~80페이지를 분할한 자료. 2001년 12월 4일 여성국제전범법정 최종판결 및 2002년 1월 13일 수정판결 이후 일본 검사단이 수행한 논평 작업의 결과물을 소개한다.
  • 전시여성폭력일본네트워크
  • 2002-05-12
제6차 아시아연대회의 전시여성폭력일본네트워크의 발표문 (일본어)IT00000043-C26
  • 일본어
제6차 아시아연대회의 전시여성폭력일본네트워크의 발표문 (일본어)
<제6차 아시아연대회의 자료집(00000043)>의 81~91페이지를 분할한 자료. '전시여성폭력일본네트워크'의 발표문으로 여성국제전범법정의 목적, 개최를 위한 노력, 실행과정과 영향, 언론보도 결과, 향후 과제, 판결 권고를 실현하기 위한 행동 제안 등을 이야기한다. 목차는 다음과 같다. 서론 : 책임자 처벌 제기에 대해서 1. 여성 국제전범 법정의 개최 목적 및 도달점 2. 여성국제전범 법정의 실현을 위해서 3. 국제연대에 의한 국제적인 운동의 실현 4. 기소장작성에서 판단까지 5. 일본사회에 끼친 영향 6. 미디어와 보도 7. 기억과 보존의 의미와 의의 8. 직면한 어려움과 향후 과제 9. 판결 권고를 질현하기 위한 행동 제안
  •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
  • 2003-04-25
제6차 아시아연대회의 일정 (일본어)IT00000043-C1
  • 일본어
제6차 아시아연대회의 일정 (일본어)
<제6차 아시아연대회의 자료집(00000043)>의 2페이지를 분할한 자료.
  • 윤미향
  • 2003-04-25
제6차 아시아연대회의 한국 윤미향의 발표문 (일본어)IT00000043-C2
  • 일본어
<제6차 아시아연대회의 자료집(00000043)>의 3~13페이지를 분할한 자료. 윤미향(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 사무총장)의 발표문으로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 활동을 보고한다.
  • 고혜정
  • 2003-04-25
제6차 아시아연대회의 한국 고혜정의 발표문 (일본어)IT00000043-C3
  • 일본어
<제6차 아시아연대회의 자료집(00000043)>의 14~19페이지를 분할한 자료. 고혜정(한국정신대연구소 연구원)의 발표문으로 중국의 일본군'위안부' 피해생존자에 대한 조사활동을 보고하고 향후 대책을 이야기한다.
  • 방청자
  • 2003-04-25
제6차 아시아연대회의 재일 방청자의 발표문 (일본어)IT00000043-C4
  • 일본어
<제6차 아시아연대회의 자료집(00000043)>의 20~21페이지를 분할한 자료. 방청자(재일한국민주여성회오사카본부 회장)의 발표문으로 '재일한국민주여성회'의 활동을 보고하고 앞으로의 과제를 이야기한다. 2002년 9월 북일 정상회담 및 재일한인 납치문제와 관련한 '재일한국민주여성회'의 호소문이 첨부되어 있다.
  • 니시노 루미코
  • 2003-04-25
제6차 아시아연대회의 일본 니시노 루미코의 발표문 (일본어)IT00000043-C6
  • 일본어
<제6차 아시아연대회의 자료집(00000043)>의 23~25페이지를 분할한 자료. 니시노 루미코(전시여성폭력일본네트워크 공동대표)의 발표문으로 여성국제전범법정 이후의 활동을 소개하고, 여성국제전범법정의 판결을 실현하기 위한 국제적 캠페인을 제안한다.
  • 스즈키 유코
  • 2003-04-25
제6차 아시아연대회의 일본 시미즈 기요코의 발표문 (일본어)IT00000043-C7
  • 일본어
<제6차 아시아연대회의 자료집(00000043)>의 26~27페이지를 분할한 자료. 시미즈 기요코(여성·전쟁·인권 학회 대표)의 발표문으로 '여성.전쟁.인권학회'의 활동을 보고한다.
  • 다카기 다카
  • 2003-04-25
제6차 아시아연대회의 일본 다카기 다카의 발표문 (일본어)IT00000043-C8
  • 일본어
<제6차 아시아연대회의 자료집(00000043)>의 28~34페이지를 분할한 자료. 다카기 다카(위안부문제의입법해결을요구하는모임)의 발표문으로 '전시성적강제피해자문제해결촉진에관한법률안'의 취지와 추진현황을 이야기한다.
  • 양징자
  • 2003-04-25
제6차 아시아연대회의 재일 양징자의 발표문 (일본어)IT00000043-C10
  • 일본어
<제6차 아시아연대회의 자료집(00000043)>의 35~44페이지를 분할한 자료. 양징자(재일조선인위안부재판을지지하는모임)의 발표문으로 2003년 3월 일본 대법원에서 상고 기각 결정이 내려진 6건의 일본군'위안부' 피해생존자 관련 재판을 소개한다. 2003년 일본군위안부 피해생존자들의 재판을 기각한 일본 대법원 결정에 항의하는 공동성명문, 송신도의 재판을 최종 기각한 대법원에 제출한 '재일조선인위안부재판을지지하는모임'의 항의문이 첨부되어 있다.
  • 일본그리스도교회
  • 2003-04-25
제6차 아시아연대회의 일본 오노데라 호사나의 발표자료 (일본어)IT00000043-C19
  • 일본어
<제6차 아시아연대회의 자료집(00000043)>의 45~47페이지를 분할한 자료. 오노데라 호사나(일본그리스도교회)의 발표문이다. 1990년부터 2003년까지의 '일본그리스도교회' 활동을 보고하고 1990년대 초반 연혁을 소개한다.
  • 도쓰카 에쓰로
  • 2003-04-25
제6차 아시아연대회의 일본 도쓰카 에쓰로의 발표문 (일본어)IT00000043-C20
  • 일본어
<제6차 아시아연대회의 자료집(00000043)>의 48~54페이지를 분할한 자료. 도쓰카 에쓰로(류코쿠대학교 법학부 교수)의 발표문으로 2000년 여성국제전범법정 판결이 담고 있는 군성노예에 관한 국제법상의 원칙을 유엔 원칙으로 만들자고 주장한다.
  • 박찬운
  • 2003-04-25
제6차 아시아연대회의 한국 박찬운의 발표문 (일본어)IT00000043-C21
  • 일본어
<제6차 아시아연대회의 자료집(00000043)>의 55~60페이지를 분할한 자료. 박찬운(변호사,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 법률전문위원장)의 발표문으로 목차는 다음과 같다. 1. 국제기구 및 여성법정의 결론 2. 향후 운동방향 제1: ILO에 의한 ICJ의 권고적 의견 3. 향후 운동방향 제2: 유럽에서의 형사소추 4. 향후 운동방향 제3: 미국에서의 소송 5. 향후 운동방향 제4: 일본에서의 특별입법 등의 추진
  • 니시노 루미코
  • 2003-04-21
니시노 루미코가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에 보낸 팩스 문서 모음 (일본어, 한국어)IT00000030-C002
  • 일본어
  • 한국어
니시노 루미코(전시여성폭력일본네트워크 공동대표)가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에 팩스로 보낸 제6차 아시아연대회의 발표문과 북한의 '조선일본군위안부및강제연행피해자보상대책위원회'의 연대사이다.
  • 시미즈 기요코
  • 2003-04-06
시미즈 기요코가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에 보낸 팩스문서 (일본어)IT00000030-C003
  • 일본어
시미즈 기요코(여성․전쟁․인권학회 대표)가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 김윤옥 앞으로 보낸 제6차 아시아연대회의 발표문이다. 시미즈 기요코의 자필 메모와 이를 한국어로 번역한 누군가의 메모가 남아 있다.
  • 다카기 다카
  • 2003-04-10
제6차 아시아연대회의 다카기 다카의 발표문 (일본어)IT00000030-C004
  • 일본어
제6차 아시아연대회의 다카기 다카의 발표문 (일본어)
다카기 다카(위안부문제의입법해결을구하는모임)가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에 팩스로 보낸 제6차 아시아연대회의 발표문이다. '전시성적강제피해자문제해결촉진에관한법률안'의 취지와 추진현황을 이야기한다.
  • 재일조선인위안부재판을지원하는모임 외
  • 2003-04-16
일본군위안부 피해생존자들의 재판을 기각한 일본 대법원 결정에 항의하는 공동성명문 (일본어)IT00000030-C005
  • 일본어
일본군위안부 피해생존자들의 재판을 기각한 일본 대법원 결정에 항의하는 공동성명문 (일본어)
2003년 3월 일본군'위안부' 피해생존자들이 제소한 6건의 재판을 일본 대법원이 기각 결정하자 소송 변호단과 시민단체들이 발표한 공동성명문이다. 이 문서는 제6차 아시아연대회의 양징자(재일위안부재판을지지하는모임) 발표의 붙임자료로 사용되었다.
  • 재일조선인위안부재판을지원하는모임
  • 2003-03-31
송신도의 재판을 최종 기각한 대법원에 제출한 재일위안부재판을지지하는모임의 항의문 (일본어)IT00000030-C012
  • 일본어
일본군'위안부' 피해생존자 송신도가 일본 정부를 상대로 제소한 재판이 2003년 3월 28일 최종 기각되자 '재일조선인위안부재판을지지하는모임'이 대법원에 제출한 항의문이다. 이 문서는 제6차 아시아연대회의 양징자(재일위안부재판을지지하는모임) 발표의 붙임자료로 사용되었다.
  • 오노데라 호사나
  • 2003-04-25
제6차 아시아연대회의 오노데라 호사나의 발표문 (일본어)IT00000030-C006
  • 일본어
제6차 아시아연대회의 오노데라 호사나의 발표문 (일본어)
오노데라 호사나(일본그리스도교회)가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에 우편으로 보낸 제6차 아시아연대회의 발표문이다.
  • 오노데라 호사나
  • 2003-04-25
제6차 아시아연대회의 오노데라 호사나의 발표문 (일본어)IT00000030-C007
  • 일본어
제6차 아시아연대회의 오노데라 호사나의 발표문 (일본어)
오노데라 호사나(일본그리스도교회)의 제6차 아시아연대회의 발표문이다.
  • 오노데라 호사나
  • 2003-04-25
제6차 아시아연대회의 오노데라 호사나의 발표문 (일본어)IT00000030-C008
  • 일본어
제6차 아시아연대회의 오노데라 호사나의 발표문 (일본어)
오노데라 호사나(일본그리스도교회)가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에 팩스로 보낸 제6차 아시아연대회의 발표문이다. 1990년부터 2003년까지의 '일본그리스도교회' 활동을 보고하고 1990년대 초반 연혁을 소개한다.
  • 요코타 유이치
  • 2003-04-25
제6차 아시아연대회의 요코타 유이치의 발표문 (일본어)IT00000030-C011
  • 일본어
제6차 아시아연대회의 요코타 유이치의 발표문 (일본어)
2000년 여성국제법정 일본측 검사로 활동한 요코타 유이치(변호사)의 제6차 아시아연대회의 발표문이다. '전시여성폭력일본네트워크'에서 작성한 <무력분쟁 하에서의 중대한 성폭력 피해자 구제에 관한 준칙> 초안이 첨부되어 있다. 연필로 글을 수정한 흔적이 문서에 남아 있다.
  • 제6차 아시아연대회의 참가자 일동
  • 2003-04-26
제6차 아시아연대회의 결의문 (일본어)IT00004212
  • 일본어
제6차 아시아연대회의 결의문 (일본어)
제6차 아시아연대회의 결의문과 행동강령으로, 유엔 등 국제기구의 권고를 활용하여 일본 정부의 공식사죄 및 법적배상을 실현할 것과 일본군'위안부' 문제의 진상규명 및 교육을 추진할 것, 군사화에 대항하고 평화적인 해결을 요구할 것을 결의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