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검색안내 보기

기록유형: 문서류언어: 한국어지역/장소: [blank]키워드: 제1차 아시아연대회의
Creator Date Title Identifier Language
  •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
  • 1992-08-10
제1차 아시아연대회의 일정표 (한국어)IT00001583-C1
  • 한국어
제1차 아시아연대회의 일정표 (한국어)
<제1차 아시아연대회의 자료집 재판본(00001583)> 의 3페이지를 분할한 자료. 제1차 아시아연대회의 일정이 담겨 있다.
  •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
  • 1992-08-10
제1차 아시아연대회의 취지문 (한국어)IT00001583-C2
  • 한국어
제1차 아시아연대회의 취지문 (한국어)
<제1차 아시아연대회의 자료집 재판본(00001583)> 의 4페이지를 분할한 자료. 제1차 아시아연대회의의 취지를 밝히는 글이다.
  • 윤정옥
  • 1992-08-10
제1차 아시아연대회의 한국 윤정옥의 발표문 (한국어)IT00001583-C5
  • 한국어
<제1차 아시아연대회의 자료집 재판본(00001583)> 의 12~18페이지를 분할한 자료. 일본군'위안부' 피해 내용을 정리하고 향후 아시아 여성의 과제를 이야기한다.
  • 정진성
  • 1992-08-10
제1차 아시아연대회의 한국 정진성의 발표문 (한국어)IT00001583-C6
  • 한국어
<제1차 아시아연대회의 자료집 재판본(00001583)> 의 19~23페이지를 분할한 자료. 천황제, 군국주의, 여성 문제를 연관 짓고 일본군'위안부' 문제에 대한 인식의 필요성을 강조한다.
  • 윤미향
  • 1992-08-10
제1차 아시아연대회의 한국 윤미향의 발표문 (한국어)IT00001583-C7
  • 한국어
<제1차 아시아연대회의 자료집 재판본(00001583)> 의 24~31페이지를 분할한 자료.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의 조직과 활동, 앞으로의 남은 과제를 이야기한다.
  • 스즈키 유코
  • 1992-08-10
제1차 아시아연대회의 일본 스즈키 유코의 발표문 (한국어)IT00001583-C8
  • 한국어
<제1차 아시아연대회의 자료집 재판본(00001583)> 의 32~36페이지를 분할한 자료. 일본군'위안부' 문제가 생긴 이유를 세 가지 측면에서 바라보며 성찰한다.
  • 시미즈 스미코
  • 1992-08-10
제1차 아시아연대회의 일본 시미즈 스미코의 발표문 (한국어)IT00001583-C10
  • 한국어
<제1차 아시아연대회의 자료집 재판본(00001583)> 의 40~43페이지를 분할한 자료. 일본군'위안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일본 국회에서 이루어진 활동을 보고한다.
  • 후쿠시마 미즈호
  • 1992-08-10
제1차 아시아연대회의 일본 후쿠시마 미즈호의 발표문 (한국어)IT00001583-C11
  • 한국어
<제1차 아시아연대회의 자료집 재판본(00001583)> 의 44~46페이지를 분할한 자료. "아시아태평양전쟁 한국인 희생자 보상 청구 재판"의 진행과 중요성을 이야기한다.
  • 박윤남
  • 1992-08-10
제1차 아시아연대회의 재일 박윤남의 발표문 (한국어)IT00001583-C12
  • 한국어
<00001583 제1차 아시아연대회의 자료집 재판본> 의 47~49페이지를 분할한 자료. 재일동포 여성 단체인 '종군위안부문제우리여성네트워크'의 활동과 의의를 이야기한다.
  • 박미좌자
  • 1992-08-10
제1차 아시아연대회의 재일 박미좌자의 발표문 (한국어)IT00001583-C13
  • 한국어
<제1차 아시아연대회의 자료집 재판본(00001583)> 의 49~50페이지를 분할한 자료. 일본군'위안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재일한국민주여성회'의 활동을 보고한다.
  • 고순자
  • 1992-08-10
제1차 아시아연대회의 재일 고순자의 발표문 (한국어)IT00001583-C14
  • 한국어
<제1차 아시아연대회의 자료집 재판본(00001583)> 의 51~52페이지를 분할한 자료. '조선인종군위안부문제를생각하는모임'을 소개하고 활동을 보고한다.
  • 넬리아 산초
  • 1992-08-11
제1차 아시아연대회의 필리핀 넬리아 산초의 발표문 (한국어)IT00001583-C15
  • 한국어
<제1차 아시아연대회의 자료집 재판본(00001583)> 의 53~54페이지를 분할한 자료. '아시아여성인권위원회'를 소개하고 활동을 보고한다.
  • 넬리아 산초
  • 1992-08-11
제1차 아시아연대회의 필리핀 넬리아 산초의 발표문 (한국어)IT00001583-C16
  • 한국어
<제1차 아시아연대회의 자료집 재판본(00001583)> 의 55~56페이지를 분할한 자료. '아시아여성인권위원회'가 실시한 필리핀의 일본군'위안부' 문제 진상조사 내용을 보고한다.
  • 아시아여성인권위원회 필리핀지부
  • 1992-08-11
제1차 아시아연대회의 필리핀 아시아여성인권위원회의 발표문 (한국어)IT00001583-C17
  • 한국어
제1차 아시아연대회의 필리핀 아시아여성인권위원회의 발표문 (한국어)
<제1차 아시아연대회의 자료집 재판본(00001583)> 의 57~62페이지를 분할한 자료. 필리핀의 일본군'위안부' 피해 사례를 소개하고 단체의 요구 사항과 활동 계획을 이야기한다.
  • 넬리아 산초
  • 양니에 라이야도르
  • 1992-08-11
제1차 아시아연대회의 필리핀 아시아여성인권위원회의 발표문 (한국어)IT00001583-C18
  • 한국어
제1차 아시아연대회의 필리핀 아시아여성인권위원회의 발표문 (한국어)
<제1차 아시아연대회의 자료집 재판본(00001583)> 의 63페이지를 분할한 자료. 일본의 만행을 고발하고 일본의 공식사죄를 주장한다.
  • 천메이링
  • 1992-08-11
제1차 아시아연대회의 대만 천메이링의 발표문 (한국어)IT00001583-C19
  • 한국어
<제1차 아시아연대회의 자료집 재판본(00001583)> 의 64~71페이지를 분할한 자료. '대만위안부대책모임'이 분석한 일본군'위안부' 피해자의 피해 내용을 보고한 글이다.
  • 제1차 아시아연대회의 참가자 일동
  • 1992-08-11
제1차 아시아연대회의 결의문 (한국어)IT00001583-C21
  • 한국어
제1차 아시아연대회의 결의문 (한국어)
<제1차 아시아연대회의 자료집 재판본(00001583)> 의 75~76페이지를 분할한 자료.
  •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
  • 1992-08-10
제1차 아시아연대회의 참가자 명단 (한국어, 영어)IT00001583-C22
  • 영어
  • 한국어
제1차 아시아연대회의 참가자 명단 (한국어, 영어)
<제1차 아시아연대회의 자료집 재판본(00001583)> 의 80~84페이지를 분할한 자료. 제1차 아시아연대회의 명단으로 참가자의 이름, 소속 단체 등을 포함한다.
  •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
  • 1992-08-10
제1차 아시아연대회의 취지문 (한국어)IT00000001-C1
  • 한국어
제1차 아시아연대회의 취지문 (한국어)
제1차 아시아연대회의 취지문으로 회의를 개최하는 목적과 앞으로 아시아연대회의가 나아갈 방향을 이야기한다.
  •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
  • 1992-08-10
제1차 아시아연대회의 취지문 (한국어)IT00000001-C2
  • 한국어
제1차 아시아연대회의 취지문 (한국어)
제1차 아시아연대회의 취지문으로 회의를 개최하는 목적과 앞으로 아시아연대회의가 나아갈 방향을 이야기한다. 하단에 참가자들의 이름과 역할 일부가 수기로 적혀 있다.
  • 도라지회
  • 1992-08-10
일본 도라지회가 제1차 아시아연대회의 참가자들에게 보내는 글 (한국어, 일본어)IT00000004
  • 일본어
  • 한국어
일본 도쿄의 시민단체 '도라지회'에서 작성한 문서다. 일본군성노예제문제의 진상 규명과 자료 공개, 피해자와 유족에 대한 사죄와 보상, 역사 교육, 모든 강제동원 피해자에 대한 사죄와 보상 관련 입법 조치를 일본 정부에 요구하겠다는 단체 목표를 밝히고 있다.
  • 제1차 아시아연대회의 참가자 일동
  • 1992-08-11
제1차 아시아연대회의 결의문 (한국어)IT00000005
  • 한국어
제1차 아시아연대회의 결의문 (한국어)
1992년 8월 10일부터 11일까지 서울에서 열린 제1차 아시아연대회의의 결의문이다. 한국, 대만, 필리핀, 홍콩, 태국, 일본 6개국 대표들은 강제종군위안부문제아세아연대를 결성하고 다섯 가지 다짐(실태조사, 일본의 전후처리 촉구, 세계 인권 기구의 협력 요청, 아시아 여러 나라의 연대 참가 촉구, 아시아 여성의 인권신장과 세계평화를 위한 노력)을 확인한다.
  • 안상님
  • 1992-08-00
제1차 아시아연대회의 결과보고서 (한국어)IT00000007
  • 한국어
제1차 아시아연대회의 결과보고서 (한국어)
안상님이 작성한 제1차 아시아연대회의 결과보고서로 결산 보고와 행사 진행 평가를 정리하고 자료집 출판을 제안한다.
  •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
  • 1992-08-00
제1차 아시아연대회의에서 부른 노래의 악보 모음 (한국어, 영어, 일본어)IT00000010
  • 영어
  • 일본어
  • 한국어
제1차 아시아연대회의에서 부른 노래의 악보 모음 (한국어, 영어, 일본어)
제1차 아시아연대회의에서 참가자들이 함께 부른 노래(봉선화, 함께 가자 우리 이 길을, 솔아 솔아 푸르른 솔아, 상록수, 아리랑, 우리의 소원)의 악보 모음이다. 국내외 참가자들이 함께 부를 수 있도록 한글, 알파벳, 가타카나로 발음을 표기하고 각 언어로 가사를 번역했다.
  •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
  • 1992-00-00
제1차 아시아연대회의 실무자료 모음 (한국어, 영어, 일본어)IT00000016
  • 영어
  • 일본어
  • 한국어
제1차 아시아연대회의 실무자료 모음 (한국어, 영어, 일본어)
제1차 아시아연대회의 준비과정에서 생산접수한 문서로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 실무자의 행사일정 수기메모, 투숙객 및 스태프 명단을 포함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