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검색안내 보기

기록유형: 문서류언어: 일본어연대: 2000년대
검색 필터
검색 필터
목록유형
기록유형
기술계층
출처
언어
연대
생산자
지역/장소
키워드
컬렉션
  • 아시아연대회의 컬렉션
Creator Date Title Identifier Language
  • 전시여성폭력일본네트워크
  • 2002-05-12
제6차 아시아연대회의 전시여성폭력일본네트워크의 발표문 (일본어)IT00000043-C26
  • 일본어
제6차 아시아연대회의 전시여성폭력일본네트워크의 발표문 (일본어)
<제6차 아시아연대회의 자료집(00000043)>의 81~91페이지를 분할한 자료. '전시여성폭력일본네트워크'의 발표문으로 여성국제전범법정의 목적, 개최를 위한 노력, 실행과정과 영향, 언론보도 결과, 향후 과제, 판결 권고를 실현하기 위한 행동 제안 등을 이야기한다. 목차는 다음과 같다. 서론 : 책임자 처벌 제기에 대해서 1. 여성 국제전범 법정의 개최 목적 및 도달점 2. 여성국제전범 법정의 실현을 위해서 3. 국제연대에 의한 국제적인 운동의 실현 4. 기소장작성에서 판단까지 5. 일본사회에 끼친 영향 6. 미디어와 보도 7. 기억과 보존의 의미와 의의 8. 직면한 어려움과 향후 과제 9. 판결 권고를 질현하기 위한 행동 제안
  • 전시여성폭력일본네트워크
  • 2005-00-00
제7차 아시아연대회의 일정표 초안 (일본어)IT00000097
  • 일본어
제7차 아시아연대회의 일정표 초안 (일본어)
제7차 아시아연대회의 일시별 프로그램 내용과 사회자, 발언자,장소를 정리한 일정표. 누군가의 메모가 남아있다.
  • 제7차 아시아연대회의 참가자 일동
  • 2005-02-13
제7차 아시아연대회의 결의문 (일본어)IT00000100
  • 일본어
제7차 아시아연대회의 결의문 (일본어)
일본군'위안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5가지 긴급행동과 6가지 국제연대행동을 결의한다.
  • 전시여성폭력일본네트워크
  • 2005-02-14
제7차 아시아연대회의 원내집회 계획 (일본어)IT00000112
  • 일본어
제7차 아시아연대회의 원내집회 계획 (일본어)
2005년 2월 14일 일본 참의원 의원회관에서 진행한 "전시성적강제피해자문제해결촉진에관한법률안의 조속한 통과를 촉구하는 집회"를 계획하는 문서. 일정, 역할분담, 앞으로 해야할 일을 정리했다.
  • 제7차 아시아연대회의 실행위원회
  • 2004-12-10
제7차 아시아연대회의 제1회 실행위원회 보고 (일본어)IT00003994
  • 일본어
제7차 아시아연대회의 제1회 실행위원회 보고 (일본어)
제7차 아시아연대회의 제1회 실행위원회 보고서. 제1회 실행위원회에서는 제7차 아시아연대회의 개최 준비 현황을 보고하고, 회의 일정과 해외 참가자 숙박 예약, 참가비와 지원내역, 역할분담을 확인했다.
  • 제7차 아시아연대회의 실행위원회
  • 2004-12-29
제7차 아시아연대회의 실행위원회가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에 보낸 양해의 글 (일본어)IT00003995
  • 일본어
제7차 아시아연대회의 실행위원회가 신혜수(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 대표) 앞으로 보낸 양해의 글이다. 한국과 중국에서 오는 일본군'위안부' 피해생존자들의 참가비를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에서 부담해 주길 요청한다.
  • 제7차 아시아연대회의 실행위원회
  • 2004-12-24
제7차 아시아연대회의 초청장 (일본어)IT00003998
  • 일본어
제7차 아시아연대회의 초청장 (일본어)
제7차 아시아연대회의 초청장으로, 일본군성노예제 문제 해결을 둘러싼 일본 내 분위기를 소개하며 전후 60년이 되는 2005년에 문제의 '최종적 해결'을 위해 아시아연대회를 개최할 것임을 밝힌다.
  • 전시여성폭력일본네트워크
  • 2005-00-00
제7차 아시아연대회의 안내문 (일본어)IT00004000
  • 일본어
제7차 아시아연대회의 안내문 (일본어)
제7차 아시아연대회의 개최 안내문으로 회의 주제와 일시, 장소, 비용을 안내하고 발표를 요청한다.
  • 제7차 아시아연대회의 실행위원회
  • 2005-00-00
제7차 아시아연대회의 일정표 (일본어)IT00004001
  • 일본어
제7차 아시아연대회의 일정표 (일본어)
제7차 아시아연대회의 일시별 프로그램 내용과 사회자, 발언자,장소를 정리한 일정표.
  • 전시여성폭력일본네트워크
  • 2005-02-12
제7차 아시아연대회의 일본 바우넷재팬의 발표문 (일본어)IT00004003
  • 일본어
제7차 아시아연대회의 일본 바우넷재팬의 발표문 (일본어)
제7차 아시아연대회의에서 일본 시민단체 '바우넷재팬'이 발표한 원고. <국민기금의 문제점과 향후 대처>를 제목으로 하며, 국민기금의 문제점, 일본 정부에 대한 국제사회의 권고, 일본 정부의 공약과 그에 반하는 상황을 차례로 이야기하고 앞으로의 운동을 제안한다.
  • 미야케 가즈코
  • 2005-02-12
제7차 아시아연대회의 일본 미야케 가즈코의 발표문 (일본어)IT00004004
  • 일본어
제7차 아시아연대회의에서 미야케 가즈코(위안부문제의입법해결을추구하는모임)가 발표한 원고. <입법화를 향한 발걸음>을 제목으로 하며 일본군'위안부' 문제 관련 입법화 운동의 방안을 이야기한다.
  • 강혜정
  • 2005-02-13
제7차 아시아연대회의 강혜정의 발표문 (일본어)IT00004005
  • 일본어
제7차 아시아연대회의에서 강혜정(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 국제협력위원장)이 발표한 원고로 목차는 다음과 같다. 1. 60년이 지난 지금 2. 끝나지 않은 일본의 국가책임 3. 아시아 연대 활동을 위한 제안
  • 정숙자
  • 2005-02-13
제7차 아시아연대회의 정숙자의 발표문 (일본어)IT00004006
  • 일본어
제7차 아시아연대회의에서 정숙자(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 공동대표)가 발표한 원고. 목차는 다음과 같다. 1. 시작하는 말 2. 일제하 일본군'위안부'피해자 생활안정지원 및 기념사업 등에 관한 법 제정 3. 일제강점하 반민족행위진상규명특별법 제정 4. 일제강점하 강제동원피해진상규명 등에 관한 특별법 제정 5. 한국 정부의 65년 한일협정 관련 문서 5권 공개 6. 과거사법 제정운동 7. 맺는말
  •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
  • 2003-04-25
제6차 아시아연대회의 일정 (일본어)IT00000043-C1
  • 일본어
제6차 아시아연대회의 일정 (일본어)
<제6차 아시아연대회의 자료집(00000043)>의 2페이지를 분할한 자료.
  • 윤미향
  • 2003-04-25
제6차 아시아연대회의 한국 윤미향의 발표문 (일본어)IT00000043-C2
  • 일본어
<제6차 아시아연대회의 자료집(00000043)>의 3~13페이지를 분할한 자료. 윤미향(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 사무총장)의 발표문으로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 활동을 보고한다.
  • 고혜정
  • 2003-04-25
제6차 아시아연대회의 한국 고혜정의 발표문 (일본어)IT00000043-C3
  • 일본어
<제6차 아시아연대회의 자료집(00000043)>의 14~19페이지를 분할한 자료. 고혜정(한국정신대연구소 연구원)의 발표문으로 중국의 일본군'위안부' 피해생존자에 대한 조사활동을 보고하고 향후 대책을 이야기한다.
  • 방청자
  • 2003-04-25
제6차 아시아연대회의 재일 방청자의 발표문 (일본어)IT00000043-C4
  • 일본어
<제6차 아시아연대회의 자료집(00000043)>의 20~21페이지를 분할한 자료. 방청자(재일한국민주여성회오사카본부 회장)의 발표문으로 '재일한국민주여성회'의 활동을 보고하고 앞으로의 과제를 이야기한다. 2002년 9월 북일 정상회담 및 재일한인 납치문제와 관련한 '재일한국민주여성회'의 호소문이 첨부되어 있다.
  • 니시노 루미코
  • 2003-04-25
제6차 아시아연대회의 일본 니시노 루미코의 발표문 (일본어)IT00000043-C6
  • 일본어
<제6차 아시아연대회의 자료집(00000043)>의 23~25페이지를 분할한 자료. 니시노 루미코(전시여성폭력일본네트워크 공동대표)의 발표문으로 여성국제전범법정 이후의 활동을 소개하고, 여성국제전범법정의 판결을 실현하기 위한 국제적 캠페인을 제안한다.
  • 스즈키 유코
  • 2003-04-25
제6차 아시아연대회의 일본 시미즈 기요코의 발표문 (일본어)IT00000043-C7
  • 일본어
<제6차 아시아연대회의 자료집(00000043)>의 26~27페이지를 분할한 자료. 시미즈 기요코(여성·전쟁·인권 학회 대표)의 발표문으로 '여성.전쟁.인권학회'의 활동을 보고한다.
  • 다카기 다카
  • 2003-04-25
제6차 아시아연대회의 일본 다카기 다카의 발표문 (일본어)IT00000043-C8
  • 일본어
<제6차 아시아연대회의 자료집(00000043)>의 28~34페이지를 분할한 자료. 다카기 다카(위안부문제의입법해결을요구하는모임)의 발표문으로 '전시성적강제피해자문제해결촉진에관한법률안'의 취지와 추진현황을 이야기한다.
  • 양징자
  • 2003-04-25
제6차 아시아연대회의 재일 양징자의 발표문 (일본어)IT00000043-C10
  • 일본어
<제6차 아시아연대회의 자료집(00000043)>의 35~44페이지를 분할한 자료. 양징자(재일조선인위안부재판을지지하는모임)의 발표문으로 2003년 3월 일본 대법원에서 상고 기각 결정이 내려진 6건의 일본군'위안부' 피해생존자 관련 재판을 소개한다. 2003년 일본군위안부 피해생존자들의 재판을 기각한 일본 대법원 결정에 항의하는 공동성명문, 송신도의 재판을 최종 기각한 대법원에 제출한 '재일조선인위안부재판을지지하는모임'의 항의문이 첨부되어 있다.
  • 일본그리스도교회
  • 2003-04-25
제6차 아시아연대회의 일본 오노데라 호사나의 발표자료 (일본어)IT00000043-C19
  • 일본어
<제6차 아시아연대회의 자료집(00000043)>의 45~47페이지를 분할한 자료. 오노데라 호사나(일본그리스도교회)의 발표문이다. 1990년부터 2003년까지의 '일본그리스도교회' 활동을 보고하고 1990년대 초반 연혁을 소개한다.
  • 도쓰카 에쓰로
  • 2003-04-25
제6차 아시아연대회의 일본 도쓰카 에쓰로의 발표문 (일본어)IT00000043-C20
  • 일본어
<제6차 아시아연대회의 자료집(00000043)>의 48~54페이지를 분할한 자료. 도쓰카 에쓰로(류코쿠대학교 법학부 교수)의 발표문으로 2000년 여성국제전범법정 판결이 담고 있는 군성노예에 관한 국제법상의 원칙을 유엔 원칙으로 만들자고 주장한다.
  • 박찬운
  • 2003-04-25
제6차 아시아연대회의 한국 박찬운의 발표문 (일본어)IT00000043-C21
  • 일본어
<제6차 아시아연대회의 자료집(00000043)>의 55~60페이지를 분할한 자료. 박찬운(변호사,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 법률전문위원장)의 발표문으로 목차는 다음과 같다. 1. 국제기구 및 여성법정의 결론 2. 향후 운동방향 제1: ILO에 의한 ICJ의 권고적 의견 3. 향후 운동방향 제2: 유럽에서의 형사소추 4. 향후 운동방향 제3: 미국에서의 소송 5. 향후 운동방향 제4: 일본에서의 특별입법 등의 추진
  • 니시노 루미코
  • 2003-04-21
니시노 루미코가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에 보낸 팩스 문서 모음 (일본어, 한국어)IT00000030-C002
  • 일본어
  • 한국어
니시노 루미코(전시여성폭력일본네트워크 공동대표)가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에 팩스로 보낸 제6차 아시아연대회의 발표문과 북한의 '조선일본군위안부및강제연행피해자보상대책위원회'의 연대사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