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검색안내 보기

기록유형: 문서류언어: 일본어연대: 2000년대
검색 필터
검색 필터
목록유형
기록유형
기술계층
출처
언어
연대
생산자
지역/장소
키워드
컬렉션
  • 아시아연대회의 컬렉션
Creator Date Title Identifier Language
  • 야마다 가쓰히코
  • 2005-02-13
제7차 아시아연대회의 일본 야마다 가쓰히코의 발표문 (일본어)IT00000153-C11
  • 일본어
<제7차 아시아연대회의 자료집(00000153)>의 50~52페이지를 분할한 자료. 중국의 일본군'위안부' 재판 변호단 변호사인 야마다 가쓰히코의 발표문으로 목차는 다음과 같다. 1. "위안부"재판의 현황 - 중국인 "위안부"재판이란 2. 국가무답책의 원칙(공권력 무책임의 원칙) 3. 민법 724조 후단 제쳑 기간에 대하여 4.법률론의 극복 5. 앞으로의 운동에 대하여
  • 도쓰카 에쓰로
  • 2005-02-13
제7차 아시아연대회의 일본 도쓰카 에쓰로의 발표문 (일본어)IT00000153-C12
  • 일본어
<제7차 아시아연대회의 자료집(00000153)>의 53~62페이지를 분할한 자료. 일본군성노예제 문제가 왜 해결되지 않았고, 왜 입법운동이 필요한지 이야기한다.
  • 가와무라 가즈유키
  • 2003-00-00
제7차 아시아연대회의 발표 참고자료 (일본어)IT00000153-C13
  • 일본어
제7차 아시아연대회의 발표 참고자료 (일본어)
<제7차 아시아연대회의 자료집(00000153)>의 63~64페이지를 분할한 자료. 2003년 양미강의 논문에서 발췌한 내용으로 한국 국정 교과서의 일본군'위안부' 문제 관련 기술을 정리한 표다. KR-1이라고 적혀 있으나 자료 내용상 일본 가와무라 가즈유키의 발표 참고자료로 추정된다.
  • 정숙자
  • 2005-02-13
제7차 아시아연대회의 한국 정숙자의 발표문 (일본어)IT00000153-C14
  • 일본어
<제7차 아시아연대회의 자료집(00000153)>의 65~71페이지를 분할한 자료. 목차는 다음과 같다. 1. 시작하는 말 2. 일제하 일본군'위안부'피해자 생활안정지원 및 기념사업 등에 관한 법 제정 3. 일제강점하 반민족행위진상규명특별법 제정 4. 일제강점하 강제동원피해진상규명 등에 관한 특별법 제정 5. 한국 정부의 65년 한일협정 관련 문서 5권 공개 6. 과거사법 제정운동 7. 맺는말
  • 조선일본군위안부및강제연행피해자보상대책위원회
  • 2005-02-13
제7차 아시아연대회의 북한 조선일본군위안부강제연행피해자보상대책위원회의 발표문 (일본어)IT00000153-C15
  • 일본어
제7차 아시아연대회의 북한 조선일본군위안부강제연행피해자보상대책위원회의 발표문 (일본어)
<제7차 아시아연대회의 자료집(00000153)>의 72~74페이지를 분할한 자료. 일본군'위안부' 문제 해결을 위해 국제사회의 관심을 높여 일본 정부를 압박해야 한다고 말한다.
  • 캉젠
  • 2005-02-13
제7차 아시아연대회의 중국 캉젠의 발표문 (일본어)IT00000153-C16
  • 일본어
<제7차 아시아연대회의 자료집(00000153)>의 75~76페이지를 분할한 자료. 중국 일본군'위안부' 피해생존자들의 상황을 소개하며, 일본 정치인들에게 요청서를 보내 가해자들을 특별법정에 세우고 국제사회를 통해 일본 정부를 압박하자 제안한다.
  • 쑤즈량
  • 2005-02-13
제7차 아시아연대회의 중국 쑤즈량의 발표문 (일본어)IT00000153-C17
  • 일본어
<제7차 아시아연대회의 자료집(00000153)>의 77~78페이지를 분할한 자료. 중국이 초창기 역사교과서에서 일본군'위안부' 문제를 언급하지 않은 이유와 이후 어떤 내용을 수록했는지 이야기한다.
  • 타이페이부녀구원기금회
  • 2005-02-13
제7차 아시아연대회의 대만 타이페이부녀구원기금회의 발표문 (일본어)IT00000153-C18
  • 일본어
제7차 아시아연대회의 대만 타이페이부녀구원기금회의 발표문 (일본어)
<제7차 아시아연대회의 자료집(00000153)>의 79~83페이지를 분할한 자료. 목차는 다음과 같다. 1. 생존자의 현황 2. 일본에 대한 배상청구와 운동의 진행 3. '아시아 여성기금'을 거부하며 4. 대만 정부 및 민간사회에 의한 할머니들을 위한 응원활동
  • 릴라필리피나
  • 2005-02-13
제7차 아시아연대회의 필리핀 릴라필리피나의 발표문 (일본어)IT00000153-C19
  • 일본어
<제7차 아시아연대회의 자료집(00000153)>의 84~89페이지를 분할한 자료. 필리핀 일본군'위안부' 피해생존자의 일본 정부를 향한 요구사항, 국민기금에 대한 의견, '릴라필리피나'의 활동을 이야기한다. 첨부자료로 필리핀 마닐라의 기림비 건립을 보도하는 일본 신문기사 스크랩이 붙어 있다.
  • 넬리아 산초
  • 2005-02-13
제7차 아시아연대회의 필리핀 넬리아 산초의 발표문 (일본어)IT00000153-C20
  • 일본어
<제7차 아시아연대회의 자료집(00000153)>의 90~91페이지를 분할한 자료. 필리핀 시민단체인 '롤라스캄파니에라'의 창단 역사와 활동을 소개한다. 원고 일부가 소실된 것으로 보인다.[위안부 피해지역 : Roxas City]
  • 아네리엣 드 파이퍼
  • 2005-02-13
제7차 아시아연대회의 네덜란드 아네리엣 드 파이퍼의 발표문 (일본어)IT00000153-C21
  • 일본어
<제7차 아시아연대회의 자료집(00000153)>의 92~95페이지를 분할한 자료. 국민기금에 관한 '일본의도의적책임을묻는재단'의 의견을 밝히고 네덜란드 일본군'위안부' 피해생존자들의 현재 상황을 보고한다.
  • 정천타오
  • 2005-02-13
제7차 아시아연대회의 정천타오의 증언 (일본어)IT00000153-C22
  • 일본어
제7차 아시아연대회의 정천타오의 증언 (일본어)
<제7차 아시아연대회의 자료집(00000153)>의 96페이지를 분할한 자료. 대만 일본군'위안부' 피해생존자 정천타오의 증언을 정리한 글이다.[위안부 피해지역 : Anmadan]
  • 천양
  • 2005-02-13
제7차 아시아연대회의 천양의 증언 (일본어)IT00000153-C23
  • 일본어
제7차 아시아연대회의 천양의 증언 (일본어)
<제7차 아시아연대회의 자료집(00000153)>의 97페이지를 분할한 자료. 대만 일본군'위안부' 피해생존자 천양의 증언을 정리한 글이다.
  • 루시아 미사
  • 2005-02-13
제7차 아시아연대회의 루시아 미사의 증언 (일본어)IT00000153-C24
  • 일본어
제7차 아시아연대회의 루시아 미사의 증언 (일본어)
<제7차 아시아연대회의 자료집(00000153)>의 98페이지를 분할한 자료. 필리핀 일본군'위안부' 피해생존자 루시아 미사의 증언을 정리한 글이다.
  • 토마사 디오소 살리녹
  • 2005-02-13
제7차 아시아연대회의 토마사 디오소 살리녹의 증언 (일본어)IT00000153-C25
  • 일본어
제7차 아시아연대회의 토마사 디오소 살리녹의 증언 (일본어)
<제7차 아시아연대회의 자료집(00000153)>의 99페이지를 분할한 자료. 필리핀 일본군'위안부' 피해생존자 토마사 디오소 살리녹의 증언을 정리한 글이다.
  • 베아트리스 투아존
  • 2005-02-13
제7차 아시아연대회의 베아트리스 투아존의 증언 (일본어)IT00000153-C26
  • 일본어
제7차 아시아연대회의 베아트리스 투아존의 증언 (일본어)
<제7차 아시아연대회의 자료집(00000153)>의 100페이지를 분할한 자료. 필리핀 일본군'위안부' 피해생존자 베아트리즈 투아존의 증언을 정리한 글이다.[위안부 피해지역 : Roxas City]
  • 심달연
  • 2005-02-13
제7차 아시아연대회의 심달연의 증언 (일본어)IT00000153-C27
  • 일본어
제7차 아시아연대회의 심달연의 증언 (일본어)
<제7차 아시아연대회의 자료집(00000153)>의 101페이지를 분할한 자료. 한국의 일본군'위안부' 피해생존자 심달연이 중국으로 연행되었을 때의 상황과 본인 명의로 국민기금이 거짓 지급된 것이 아닌지 생각하게 된 사연을 정리한 글이다.
  • 류몐환
  • 2005-02-13
제7차 아시아연대회의 류몐환의 증언 (일본어)IT00000153-C28
  • 일본어
제7차 아시아연대회의 류몐환의 증언 (일본어)
<제7차 아시아연대회의 자료집(00000153)>의 102페이지를 분할한 자료. 중국 산시성 출신 일본군'위안부' 피해생존자 류몐환의 증언을 정리한 글이다.[위안부 피해지역 : 進圭社]
  • 쓰보카와 히로코
  • 2005-02-12
제7차 아시아연대회의 일본 쓰보카와 히로코의 발표문 (영어, 일본어)IT00000095-C5
  • 영어
  • 일본어
<제7차 아시아연대회의 자료집(00000095)>의 20~26페이지를 분할한 자료. 1994년과 2003년 출판된 일본 교과서를 비교분석한다. 참고자료로 지쿄출판사(実教出版)가 발행한 <고교일본사A>의 발췌 내용과 함께 暴走する東京の教育状況 ~2005年採択に向けて(폭주하는 도쿄의 교육 상황~2005년 채택을 향해)라는 제목의 글이 붙어있다.
  • 양징자
  • 2005-02-12
제7차 아시아연대회의 일본 양징자의 발표문 (일본어)IT00000093-C4
  • 일본어
<제7차 아시아연대회의 자료집(00000093)>의 23~26페이지를 분할한 자료. <일본군 성폭력 피해자 재판 현황>이라는 제목으로 일본군'위안부' 관련 재판의 경과와 현황을 보고한다.
  • 쓰보카와 히로코
  • 2005-02-12
제7차 아시아연대회의 일본 쓰보카와 히로코의 발표문 (한국어, 일본어)IT00000093-C6
  • 일본어
  • 한국어
<제7차 아시아연대회의 자료집(00000093)>의 31~36페이지를 분할한 자료. 1994년과 2003년 출판된 일본 교과서를 비교분석한다. 참고자료로 지쿄출판사(実教出版)가 발행한 <고교일본사A>의 발췌 내용과 함께 暴走する東京の教育状況 ~2005年採択に向けて(폭주하는 도쿄의 교육 상황~2005년 채택을 향해)라는 제목의 글이 붙어있다.
  • 도쓰카 에쓰로
  • 2005-02-13
제7차 아시아연대회의 일본 도쓰카 에쓰로의 발표문 (일본어)IT00000093-C12
  • 일본어
<제7차 아시아연대회의 자료집(00000093)>의 60~61페이지를 분할한 자료. 일본군성노예제 문제가 왜 해결되지 않았고, 왜 입법운동이 필요한지 이야기한다.
  • 와타나베 미나
  • 2003-04-25
제6차 아시아연대회의 일본 와타나베 미나의 발표문 (일본어)IT00000043-C22
  • 일본어
<제6차 아시아연대회의 자료집(00000043)>의 61~63페이지를 분할한 자료. 와타나베 미나(전시여성폭력일본네트워크 국제캠페인 담당)의 발표문으로 지난 1년 간 '전시여성폭력일본네트워크'가 수행한 국제기구 활동과 2000년 여성국제전범법정 판결에서 법적 원칙을 끌어내 성문화하는 작업을 보고한다.
  • 요코타 유이치
  • 2003-04-25
제6차 아시아연대회의 일본 요코타 유이치의 발표문 (일본어)IT00000043-C23
  • 일본어
<제6차 아시아연대회의 자료집(00000043)>의 64~69페이지를 분할한 자료. 요코타 유이치(변호사, 여성국제전범법정 일본검사단)의 발표문이다. '전시여성폭력일본네트워크'에서 작성한 <무력분쟁 하에서의 중대한 성폭력 피해자 구제에 관한 준칙> 초안이 첨부되어 있다.
  • 히가시자와 야스시
  • 2002-05-11
제6차 아시아연대회의 히가시자와 야스시의 자료 (일본어)IT00000043-C25
  • 일본어
제6차 아시아연대회의 히가시자와 야스시의 자료 (일본어)
<제6차 아시아연대회의 자료집(00000043)>의 70~80페이지를 분할한 자료. 2001년 12월 4일 여성국제전범법정 최종판결 및 2002년 1월 13일 수정판결 이후 일본 검사단이 수행한 논평 작업의 결과물을 소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