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검색안내 보기

기록유형: 문서류언어: 한국어연대: 1990년대
검색 필터
검색 필터
목록유형
기록유형
기술계층
출처
언어
연대
생산자
지역/장소
키워드
컬렉션
  • 아시아연대회의 컬렉션
Creator Date Title Identifier Language
  •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
  • 1996-03-06
제4차 아시아연대회의 1차 참가자 준비회의 자료 (한국어)IT00000022
  • 한국어
제4차 아시아연대회의 1차 참가자 준비회의 자료 (한국어)
1996년 3월 6일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 사무실에서 열린 제4차 아시아연대회의 준비회의의 자료. 아시아연대회의 프로그램과 경비, 준비물 등이 안건으로 올라가 있다. 문서에 회의 참석자로 추정되는 인물의 자필 메모가 남아있다.
  •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
  • 1996-02-22
제4차 아시아연대회의 예상경비 및 일정 (한국어, 영어)IT00000024
  • 영어
  • 한국어
제4차 아시아연대회의 예상경비 및 일정 (한국어, 영어)
1996년 3월 28일부터 29일까지 필리핀 마닐라에서 열린 제4차 아시아연대회의의 예상경비와 일정을 기재한 문서다. 제4차 아시아연대회의 주관단체인 '릴라필리피나'에서 팩스로 보낸 회의 일정표가 첨부되어 있다. 문서에 누군가의 자필 메모가 남아있다.
  •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
  • 1995-02-00
제3차 아시아연대회의 준비사항 (한국어)IT00004188
  • 한국어
제3차 아시아연대회의 준비사항 (한국어)
제3차 아시아연대회의 준비과정에서 생산된 문서로 북한 대표단 판문점 마중 등 실무자가 해야 할 업무 일부가 정리되어 있다.
  • 윤정옥
  • 1995-03-23
제3차 아시아연대회의 자료집 발간사 (한국어)IT00001584-C1
  • 한국어
제3차 아시아연대회의 자료집 발간사 (한국어)
<제3차 아시아연대회의 자료집(00001584)>의 3~4페이지를 분할한 자료. 제3차 아시아연대회의 개최 소감과 의의를 밝히는 윤정옥(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 공동대표)의 발간사이다.
  • 이효재
  • 1995-02-27
제3차 아시아연대회의 이효재의 개회사 (한국어)IT00001584-C2
  • 한국어
<제3차 아시아연대회의 자료집(00001584)>의 7~8페이지를 분할한 자료. "우리의 결의와 연대를 다짐하면서"라는 제목으로 쓴 이효재(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 공동대표)의 개회사이다.
  • 이우정
  • 1995-02-27
제3차 아시아연대회의 이우정의 격려사 (한국어)IT00001584-C3
  • 한국어
<제3차 아시아연대회의 자료집(00001584)>의 9~10페이지를 분할한 자료. "아픔을 고발하고, 함께 연대하며 끝까지 싸워 나가기를 바랍니다"라는 제목으로 쓴 이우정(민주당 의원)의 격려사이다.
  • 이세중
  • 1995-02-27
제3차 아시아연대회의 이세중의 격려사 (한국어)IT00001584-C4
  • 한국어
<제3차 아시아연대회의 자료집(00001584)>의 11~12페이지를 분할한 자료. "전후 50년이 되는 금년에는 이 문제가 완전히 해결되길 바랍니다"라는 제목으로 쓴 이세중(대한변호사협회 회장)의 격려사이다.
  • 박용길
  • 1995-02-27
제3차 아시아연대회의 박용길의 격려사 (한국어)IT00001584-C5
  • 한국어
<제3차 아시아연대회의 자료집(00001584)>의 13페이지를 분할한 자료. "새 세상을 열기 위한 연대를!"라는 제목으로 쓴 박용길(자주평화통일민족회의 공동의장)의 격려사이다.
  • 박종근
  • 1995-02-27
제3차 아시아연대회의 박종근의 격려사 (한국어)IT00001584-C6
  • 한국어
<제3차 아시아연대회의 자료집(00001584)>의 14페이지를 분할한 자료. "국제여론을 환기시키는 좋은 계기가 되기를"라는 제목으로 쓴 박종근(한국노동조합총연맹 위원장)의 격려사이다.
  • 이연옥
  • 1995-02-27
제3차 아시아연대회의 이연옥의 격려사 (한국어)IT00001584-C7
  • 한국어
<제3차 아시아연대회의 자료집(00001584)>의 15~16페이지를 분할한 자료. "존엄한 교훈을 남기는 기회가 되기를 바랍니다"라는 제목으로 쓴 이연옥(서울여자대학교 이사장)의 격려사이다.
  • 이시카와 이쓰코
  • 1995-02-27
제3차 아시아연대회의 일본 이시카와 이쓰코의 발표문 (한국어)IT00001584-C9
  • 한국어
<제3차 아시아연대회의 자료집(00001584)>의 19~24페이지를 분할한 자료. 일본 이시카와 이쓰코의 발표문으로 일본 정부의 태도와 민간기금이 생긴 배경 근거로 민간모금에 반대한다.
  • 양영지
  • 1995-02-27
제3차 아시아연대회의 재일 양영지의 발표문 (한국어)IT00001584-C10
  • 한국어
<제3차 아시아연대회의 자료집(00001584)>의 25~29페이지를 분할한 자료. 재일한인 양영지의 발표문으로 민간기금이 일본 정부의 최종 해결책이 된 이유와 재일한인의 입장에서 민간기금을 반대하는 이유를 밝힌다. 발표 후 이어진 질의응답 내용이 첨부되어 있다.
  • 줄리아 파토사 포라스
  • 1995-02-27
제3차 아시아연대회의 필리핀 줄리아 파토사 포라스의 발표문 (한국어)IT00001584-C11
  • 한국어
<제3차 아시아연대회의 자료집(00001584)>의 30~32페이지를 분할한 자료. 필리핀의 일본군'위안부' 피해생존자 줄리아 파토사 포라스의 발표문으로 본인의 피해 사실을 증언하고 민간모금에 반대하는 뜻을 밝힌다. 발표 후 이어진 질의응답 내용이 첨부되어 있다.
  • 넬리아 산초
  • 1995-02-27
제3차 아시아연대회의 필리핀 넬리아 산초의 발표문 (한국어)IT00001584-C12
  • 한국어
<제3차 아시아연대회의 자료집(00001584)>의 33~35페이지를 분할한 자료. 필리핀 대표 넬리아 산초의 발표문으로 '릴라필리피나'가 민간기금에 반대하는 이유와 앞으로의 포부를 밝힌다. 발표 후 이어진 질의응답 내용이 첨부되어 있다.
  • 홍선옥
  • 1995-02-27
제3차 아시아연대회의 북한 홍선옥의 발표문 (한국어)IT00001584-C13
  • 한국어
<제3차 아시아연대회의 자료집(00001584)>의 36~39페이지를 분할한 자료. 북한 대표 홍선옥의 발표문으로 민간기금에 반대하는 이유를 설명한다.
  • 김순덕
  • 1995-02-27
제3차 아시아연대회의 한국 김순덕의 발표문 (한국어)IT00001584-C14
  • 한국어
<제3차 아시아연대회의 자료집(00001584)>의 40~41페이지를 분할한 자료. 일본군'위안부' 피해자 김순덕의 발표문으로 민간기금에 반대하며 일본의 사과를 요구한다.
  • 김경희
  • 1995-02-27
제3차 아시아연대회의 한국 김경희의 발표문 (한국어)IT00001584-C15
  • 한국어
<제3차 아시아연대회의 자료집(00001584)>의 42~44페이지를 분할한 자료. 김경희(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 총무)의 발표문으로 일본 정부 주도의 민간기금을 철회해야하는 이유를 설명한다.
  • 샤오위팡
  • 1995-02-27
제3차 아시아연대회의 대만 샤오위팡의 발표문 (한국어)IT00001584-C16
  • 한국어
<제3차 아시아연대회의 자료집(00001584)>의 45~46페이지를 분할한 자료. 대만 대표 샤오위팡의 발표문으로 일본 정부의 "위로금"과 민간기금에 반대하는 이유를 설명한다.
  • 최금춘
  • 1995-02-28
제3차 아시아연대회의 북한 최금춘의 발표문 (한국어)IT00001584-C17
  • 한국어
<제3차 아시아연대회의 자료집(00001584)>의 48~51페이지를 분할한 자료. 북한 대표 최금춘의 발표문으로 일본군'위안부' 문제 해결을 위해 앞으로 해야 할 일을 이야기한다.
  • 넬리아 산초
  • 1995-02-28
제3차 아시아연대회의 필리핀 넬리아 산초의 발표문 (한국어)IT00001584-C18
  • 한국어
<제3차 아시아연대회의 자료집(00001584)>의 52~54페이지를 분할한 자료. 필리핀 대표 넬리아 산초의 발표문으로 '릴라필리피나'의 활동과 그 의의를 이야기한다.
  • 김영희1
  • 1995-02-28
제3차 아시아연대회의 재일 김영희의 발표문 (한국어)IT00001584-C19
  • 한국어
<제3차 아시아연대회의 자료집(00001584)>의 55~59페이지를 분할한 자료. 재일한인 김영희의 발표문으로 민간기금을 가동시키지 않기 위한 방법과 활동을 제안하고 재일한인들의 활동과 메시지를 소개한다.
  • 김영희1
  • 1995-02-28
제3차 아시아연대회의 대만 천이전의 발표문 (한국어)IT00001584-C20
  • 한국어
<제3차 아시아연대회의 자료집(00001584)>의 60~61페이지를 분할한 자료. 대만 대표 천이전의 발표문으로 민간기금에 반대하고, 일본 정부가 우리의 요구를 수락하도록 하는 행동 계획을 제안한다.
  • 쓰부라야 교코
  • 1995-02-28
제3차 아시아연대회의 일본 쓰부라야 교코의 발표문 (한국어)IT00001584-C21
  • 한국어
<제3차 아시아연대회의 자료집(00001584)>의 62~66페이지를 분할한 자료. 일본 대표 쓰부라야 교코의 발표문으로 일본군'위안부' 문제 해결을 위한 방책을 이야기한다.
  • 지은희
  • 1995-02-28
제3차 아시아연대회의 한국 지은희의 발표문 (한국어)IT00001584-C22
  • 한국어
<제3차 아시아연대회의 자료집(00001584)>의 67~75페이지를 분할한 자료. 지은희(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 기획위원장)의 발표문으로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의 목표와 활동 내용, 앞으로의 활동 방향을 이야기한다.
  • 나카하라 미치코
  • 마쓰이 야요리
  • 1995-02-27
제3차 아시아연대회의 나카하라 미치코의 발표문과 마쓰이 야요리의 질의응답 (한국어)IT00001584-C23
  • 한국어
<제3차 아시아연대회의 자료집(00001584)>의 77~81페이지를 분할한 자료. 일본 대표 마쓰이 야요리(일본 동아시아여성 NGO 대표)가 대독한 나카하라 미치코의 발표문으로 말레이시아의 일본군'위안부' 피해자 로자린의 인터뷰를 담고 있다. 발표 후 이어진 질의응답 내용이 첨부되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