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검색안내 보기

기록유형: 문서류언어: 한국어연대: 1990년대키워드: 북한
검색 필터
검색 필터
목록유형
  • 기록
기록유형
기술계층
  • 기록건
출처
언어
연대
생산자
지역/장소
  • none
키워드
컬렉션
  • 아시아연대회의 컬렉션
Creator Date Title Identifier Language
  •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
  • 1995-02-20
제3차 아시아연대회의 일정 및 북한 대표단 참가 안내 보도자료 (한국어)IT00000114
  • 한국어
제3차 아시아연대회의 일정 및 북한 대표단 참가 안내 보도자료 (한국어)
제3차 아시아연대회의에 참가하는 북한 대표단(일본군'위안부' 피해생존자 박영심과 종군위안부및태평양전쟁피해자보상대책위원회)의 구성과 판문점 통과시간, 제3차 아시아연대회의 일정을 안내하며 관련 보도를 요청한다.
  •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
  • 1995-02-27
제3차 아시아연대회의 취재기자들에게 보내는 속보 (한국어)IT00000116
  • 한국어
제3차 아시아연대회의 취재기자들에게 보내는 속보 (한국어)
제3차 아시아연대회의 첫째 날 취재기자들에게 보낸 두 차례의 속보다. 북한 대표 및 대만 일본군'위안부' 피해생존자의 불참을 알리며 북한과의 연락 과정을 설명하고 피해생존자들의 그림전시 개최를 안내한다.
  • 통일원
  • 1995-02-23
제3차 아시아연대회의 북한 인사의 환영 행사 경비를 일부 지원하겠다는 의사를 밝히는 통일원의 공문 (한국어)IT00000041
  • 한국어
통일원이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로 보낸 공문이다.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의 요청에 따라 제3차 아시아연대회의 참석 북한 인사를 환영하는 행사의 경비 일부를 지원하겠다는 의사를 밝힌다.
  •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
  • 1995-02-21
북한 대표들의 제3차 아시아연대회의 참석을 위한 남한방문증명서발급신청서 (한국어)IT00000042
  • 한국어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가 작성한 남한방문증명서발급신청서 사본 모음이다. 북한 대표 7명(홍선옥, 최금춘, 리은심, 박성옥, 강덕순, 박영심, 김성림)은 제3차 아시아연대회의에 참가하기로 되어 있었으나 회의 개최 당일인 1995년 2월 26일 오전에 방문이 취소되었다.
  • 홍선옥
  • 1995-02-27
제3차 아시아연대회의 북한 홍선옥의 발표문 (한국어)IT00000045-C10
  • 한국어
홍선옥(종군위안부및태평양전쟁피해자보상대책위원회)의 제3차 아시아연대회의 발표문으로 전문과 요약문의 합본이다. 일본 정부의 위로금에 반대하고 남북한과 아시아 여성이 함께 연대하여 헤쳐나가자는 뜻을 밝힌다.
  •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
  • 1993-10-19
통일원에 북한주민접촉을 신청하는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의 공문 (한국어)IT00000128
  • 한국어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가 한완상(통일원 장관)에게 보낸 공문으로 제2차 아시아연대회의에서 북한 인사와 접촉할 예정임을 알린다. 윤정옥(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 공동대표)의 북한주민접촉신청서가 첨부되어 있다.
  • 임정덕
  • 1993-10-28
임정덕이 김호영에게 보낸 윤정옥의 북한주민접촉결과보고서 (한국어, 일본어)IT00000136
  • 일본어
  • 한국어
임정덕(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 간사)이 김호영(통일원 교류1과 과장)에게 보낸 윤정옥(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 공동대표)의 북한주민접촉결과보고서. 일본어로 작성된 제2차 아시아연대회의 결의문이 첨부되어 있다.
  • 통일원
  • 1992-08-06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의 북한주민접촉불허를 알리는 통일원의 공문 (한국어)IT00000089
  • 한국어
통일원이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에 보낸 공문. 제1차 아시아연대회의에 북한측 인사를 초청하고자 신청한 북한주민접촉을 불허함을 알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