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검색안내 보기

생산자: 제7차 아시아연대회의 실행위원회언어: 한국어
검색 필터
검색 필터
목록유형
기록유형
기술계층
  • 기록건
출처
  • 정의기억연대 외
언어
연대
  • 2000년대
생산자
  • 제7차 아시아연대회의 실행위원회
지역/장소
  • none
키워드
  • none
  • 제7차 아시아연대회의
컬렉션
  • 아시아연대회의 컬렉션
Creator Date Title Identifier Language
  • 제7차 아시아연대회의 실행위원회
  • 2005-02-12
제7차 아시아연대회의 자료집 (한국어, 일본어)IT00000154
  • 일본어
  • 한국어
제7차 아시아연대회의 자료집 (한국어, 일본어)
제7차 아시아연대회의 발표용 자료집으로 목차는 다음과 같다. 개회사: 다카하시 기쿠에 - 제7차 일본군[위안부]문제 아시아 연대회의 개최에 조음하여 JP 1 바우넷재팬 - 국민기금의 문제점과 이후의 대처방안 붙임1. 유엔관계자기관의 권고등 붙임2. 1900년~ 일본 정부에 의한 '위안부'문제 등에 관한 공약 · 공적발언에 관한 연표(바우넷재팬) 2 미야케 카즈코 - 입법화로의 발걸음 3 양징자 - 일본군성폭력피해자재판현황 4 이케다 에리코 - 전쟁과 여성에 대한 폭력·자료관 네트워크 구축을 향하여 5 쓰보카와 히로코 - 고등학교 역사교과서에서 보는 '위안부'기술의 변천 붙임1. 戦後補償を考える(전후 보상을 생각하다) 붙임2. 暴走する東京の教育状況 ~ 2005年採択に向けて(폭주하는 도쿄의 교육상황~2005년 채택을 위해) 6 카와무라 카즈유키 - 역사사실을 규명하여 연사인식을 공유하는 기초로 하자 붙임. 국립국회도서관법의 일부를 개정하는 법률안 7 노쿠치 지에코 - '위안부'문제 해결촉진법안의 조기 성립을 위한 후쿠오카에서의 제안 <아시아 사람들과 진심으로 공생하고 싶다!> 8 니시노 루미코 - NHK프로그램 개찬과 정치인 개입사건을 둘러싸고 -기억과 책임의 시점에서- 9 신혜봉 - 중대인권침해의 구제와 국제법 - '위안부'피해자들의 구제를 향해서 10 야마다 가츠히코 - '위안부'재판의 성과와 과제 11 도쓰카 에쓰로 - 「戦時性的強制被害者問題の立法解決に向けて」(전시성 강제 피해자 문제 입법 해결을 위해) KR 1 강혜정 - 끝나지 않은 일본의 국가책임 2 정숙자 - 한국의 진상규명 활동과 올바른 과거사 청산운동 NK 1 조선일본군위안부·강제연행피해자보상대책위원회 - 일본군성노예문제는 국제세론전으로 CH 1 캉젠 - 일본 정부의 신속한 인책을 간청하는데 관한 의견 TW 1 타이페이부녀구원기금회 - 대만의 일본군'성노예'피해자의 현황 및 배상청구 운동의 발전에 관하여 NL 1 피퍼 - 네덜란드에서의 아시아여성기금 피해자 증언: 심달련, 베아트리스 투아존, 류몐환
  • 제7차 아시아연대회의 실행위원회
  • 2004-12-24
제7차 아시아연대회의 초청장 (한국어)IT00003996
  • 한국어
제7차 아시아연대회의 초청장 (한국어)
제7차 아시아연대회의 초청장으로, 일본군성노예제 문제 해결을 둘러싼 일본 내 분위기를 소개하며 전후 60년이 되는 2005년에 문제의 '최종적 해결'을 위해 아시아연대회를 개최할 것임을 밝힌다.
  • 제7차 아시아연대회의 실행위원회
  • 2005-02-12
제7차 아시아연대회의 자료집 (한국어, 일본어)IT00000093
  • 일본어
  • 한국어
제7차 아시아연대회의 자료집 (한국어, 일본어)
제7차 아시아연대회의 자료집으로 목차는 다음과 같다. 개회사: 다카하시 기쿠에 - 제7차 일본군[위안부]문제 아시아 연대회의 개최에 조음하여 JP 1 바우넷재팬 - 국민기금의 문제점과 이후의 대처방안 붙임1. 유엔관계자기관의 권고등 붙임2. 1900년~ 일본 정부에 의한 '위안부'문제 등에 관한 공약 · 공적발언에 관한 연표(바우넷재팬) 2 미야케 카즈코 - 입법화로의 발걸음 3 양징자 - 일본군성폭력피해자재판현황 4 이케다 에리코 - 전쟁과 여성에 대한 폭력·자료관 네트워크 구축을 향하여 5 쓰보카와 히로코 - 고등학교 역사교과서에서 보는 '위안부'기술의 변천 붙임1. 戦後補償を考える(전후 보상을 생각하다) 붙임2. 暴走する東京の教育状況 ~ 2005年採択に向けて(폭주하는 도쿄의 교육상황~2005년 채택을 위해) 6 카와무라 카즈유키 - 역사사실을 규명하여 연사인식을 공유하는 기초로 하자 붙임. 국립국회도서관법의 일부를 개정하는 법률안 7 노쿠치 지에코 - '위안부'문제 해결촉진법안의 조기 성립을 위한 후쿠오카에서의 제안 <아시아 사람들과 진심으로 공생하고 싶다!> 8 니시노 루미코 - NHK프로그램 개찬과 정치인 개입사건을 둘러싸고 -기억과 책임의 시점에서- 9 신혜봉 - 중대인권침해의 구제와 국제법 - '위안부'피해자들의 구제를 향해서 10 야마다 가츠히코 - '위안부'재판의 성과와 과제 11 도쓰카 에쓰로 - 「戦時性的強制被害者問題の立法解決に向けて」(전시성 강제 피해자 문제 입법 해결을 위해) KR 1 강혜정 - 끝나지 않은 일본의 국가책임 2 정숙자 - 한국의 진상규명 활동과 올바른 과거사 청산운동 NK 1 조선일본군위안부·강제연행피해자보상대책위원회 - 일본군성노예문제는 국제세론전으로 CH 1 캉젠 - 일본 정부의 신속한 인책을 간청하는데 관한 의견 TW 1 타이페이부녀구원기금회 - 대만의 일본군'성노예'피해자의 현황 및 배상청구 운동의 발전에 관하여 NL 1 피퍼 - 네덜란드에서의 아시아여성기금 피해자 증언: 심달련, 베아트리스 투아존, 류몐환